머리말
1. 범망경(梵網經 [1. Brahmaj?la Sutta]
2. 사문과경(沙門果經 [2. S?manna-Phala Sutta]
3. 꾸따단따경 [5. K??adanta Sutta]
4. 뽓타빠다경 [9. Po??hap?da Sutta]
5. 께왓다경 [11. Kevaddha Sutta]
6. 대인연경(大因緣經 [15. Mah?-Nid?na Sutta]
7.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16. Mah?-Parinibb?na Sutta]
8. 대념처경(大念處經 [22. Mah?-Satipa??h?na Sutta]
9. 전륜성왕사자후경(轉輪聖王獅子吼經 [26. Cakkavatti-S?han?da Sutta]
10. 태초경(太初經 [27. Agganna Sutta]
11. 청정경(淸淨經 [29. P?s?dika Sutta]
12. 씽갈라를 가르치신 경 [31. Si?g?lov?da Sutta]
불교 최초기의 생생한 원음이 담긴
『니까야』의 정수를 담은 결정판!
불교는 방대한 경전 문헌을 갖추고 있고, 현대어 번역서 또한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하지만 정작 누구나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 번역서는 드물다. 내용이 길기도 하지만 고어(古語의 벽에 가로막혀 그 진의를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평생을 불교 연구와 경전 번역에 바쳐온 이중표 명예교수는 이러한 고민 속에서 30여 년 전부터 핵심 경전만을 정선(精選하여 체계적으로 불교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집필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경전의 선정 기준과 방대한 양이 어려운 문제였다. 고심 끝에 불경의 범위를 초기경전으로 한정했다. 불교 최초기의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으면서도, 대승불교와 상좌부불교 모두를 아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니까야』를 중심으로 번역하되, 한역 초기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내용을 보충하여 집필을 시작했고, 그 첫 책이 『정선(精選 디가 니까야』이다. 저자는 『니까야』의 방대한 내용 가운데 중첩 · 반복되는 부분은 덜어내고, 『니까야』 속 중요한 경전만을 엄선하여 현대인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세련된 현대어로 옮기는 데 주력했다. 자세한 주석과 해설은 불교의 핵심과 붓다의 진의를 담아내려 한 저자의 고심이 담겨 있다.
불교의 원천이라고도 할 수 있는 『니까야』 초기경전을 통해 생생한 불교를 느끼고 싶은 이들에게는 더없는 책이다.
불교를 공부하고 싶은 이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대인연경」 · 「대반열반경」 · 「대념처경」
『디가 니까야』는 내용이 긴 34개의 경전을 엮은 경전 모음집이다. 붓다가 제자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외도(外道와의 토론 내용도 자세히 수록되어 있어, 당시 인도 사상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기도 하다. 또한 모순 대립하는 관념적 사유의 틀에서 벗어나 체험적으로 진실에 접근하는 중도(中道의 입장을 드러내는 특징을 보여준다.
『정선(精選 디가 니까야』는 이 34개의 경 가운데 12개의 경을 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