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부 먼지의 과학
: 공포가 된 공기, 과학으로 자세히 읽기
먼지의 이론과 실제: 공기오염, 지금이 최악일까
먼지의 공포: 한국식 ‘초미세먼지’의 탄생부터 ‘1급 발암물질’ 명명까지
한국의 공기오염은 세계 최하위권인가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자, 질병부담 국가 순위
위험의 기준이란 무엇인가(1: 세계보건기구의 미세먼지 기준은 질병 발생의 기준이 아니다
위험의 기준이란 무엇인가(2: 미국 AQI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부 미세먼지 프레임은 우리에게 어떻게 작동하는가
: 미세먼지, ‘천동설’부터 ‘메이드 인 차이나’까지
미세먼지 ‘천동설’의 진원지를 찾아서
중국발 미세먼지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중국에서 온 미세먼지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유럽의 국가 간 미세먼지 이동 연구 사례
여름철 미세먼지는 중국발이 아니어서 괜찮은가
언제까지 중국 탓만 할 것인가??
3부 비과학은 어떻게 믿음이 되었나
: 잘못된 뉴스의 생산과 확산을 말하다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공기를 둘러싼 공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매연 3시간 40분 흡입설’을 만든 논문 오독과 뉴스 보도
잘못된 정보가 과학으로 불리는 순간: 팩트 체크를 놓친 ‘한중 공동연구’ 보도
잘못된 해석이 뉴스가 되었을 때: 중국발 미세먼지 ‘3만 조기 사망설’ 《네이처》 논문 보도
먼지, 더 작아지고 독해졌는가: 미세먼지 오보의 생산과 확대
4부 공기는 왜 개인의 책임이 되었는가
: 공기가 모두의 것이 되려면
마스크는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없다
차량 2부제는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없다
미세먼지 측정망의 문제가 아니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에 찬성한다
최악의 공해 도시, 뉴욕과 런던은 어떻게 깨끗한 도시가 되었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에필로그
미주
과학으로 밝히는 미세먼지를 둘러싼 모든 것
: 마스크는 안전할까? 한국의 대기오염은 어느 정도일까?
공기에 대한 공포는 최근 몇 년간 미세먼지 오염이 급격히 악화되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여기에 저자는 데이터를 제시하며 질문한다. 서울시의 지난 10여 년간 미세먼지(PM10 고농도 오염 발생 빈도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고농도오염이라 할 수 있는 100㎍/㎥ 이상인 날의 빈도가 뚜렷하게 줄어들었음을 볼 수 있다. 훨씬 더 오염도가 높은 150㎍/㎥ 이상인 날이나 250㎍/㎥ 이상인 날 역시 감소했다. 2012년 이후 미세먼지 연평균 오염도가 일시적으로 다시 증가하자 고농도 오염 발생 빈도 역시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그 후에는 다시 감소하고 있다.
세계보건기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미세먼지(PM2.5로 인한 조기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8명으로 전 세계에서 27번째로 낮다. 보건학계에서 널리 사용하는 질병부담 지표인 DALY(Disability Adjusted Life Year를 살펴봐도, 인구 10만 명당 394년으로 질병부담이 세계에서 29번째로 낮았다. DALY는 조기사망, 질병, 장애 등으로 인해 건강한 삶이 손실된 연수를 말한다. 저자는 한국의 대기질이 전 세계 최상위에 속한다면서, 지나친 공포와 상품의 공포마케팅을 경계한다. 미세먼지에 관해 잘못 유통되고 있는 정보를 정확하게 짚어내면서 ‘미세먼지 천동설’에 대항한다.
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날은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권고에 대해서도 미국흉부학회, 미국FDA, 싱가포르정부 등이 발표한 마스크 사용 권고사항을 인용하는 식으로, 잘못 알려진 상식을 정확히 짚어준다.
미세먼지는 모두 ‘메이드 인 차이나’일까?
: 중국발 미세먼지설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진짜’ 영향
장재연 교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개선을 위한 부단한 노력은 지속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만 지금과는 그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미세먼지의 원인을 대부분 중국에서 찾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