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4
1부 전근대
1장 문화의 개념과 한국의 다문화 연구 15
2장 세계의 거석문화와 한반도의 고인돌 36
3장 교통로의 발달과 문화융합 62
4장 동아시아 문화와 바닷길(Sea Road 80
5장 한반도의 다문화 현상과 문화적 전승 93
6장 한국 근세의 문화적 다양성 157
2부 근현대
1장 서세동점기 독일인 오페르트의 조선이미지 211
2장 한말 서구문물의 수용과 독일인 236
3장 전통사회와 외래종교의 문화충돌 277
4장 일제강점기 한 조선 청년의 구직 및 일상생활 296
5장 파독 간호사ㆍ광부의 독일정착과 삼각이민 335
6장 한국사회와 다문화 359
참고문헌 377
발표지면 406
출판사 서평
단일민족국가 신화를 타파하고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하고자 노력하다.
한국사회는 오랫동안 단일민족국가의 신화에 몰입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학계와 교육계 및 사회단체 등을 통해 진행되어 왔다. 이미 오래 전부터 학계의 각 분야에서는 문화의 통합과 충돌에 대한 연구가 상당 부분 진척되어 왔다. 문학 분야에서는 비교문학연구, 문화연구 등을 중심으로 다문화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행해졌다. 또한 최근 영미문학연구회 등을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영문학 작품들에 대한 기존의 번역을 점검하는 노력 또한 다...
단일민족국가 신화를 타파하고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하고자 노력하다.
한국사회는 오랫동안 단일민족국가의 신화에 몰입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학계와 교육계 및 사회단체 등을 통해 진행되어 왔다. 이미 오래 전부터 학계의 각 분야에서는 문화의 통합과 충돌에 대한 연구가 상당 부분 진척되어 왔다. 문학 분야에서는 비교문학연구, 문화연구 등을 중심으로 다문화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행해졌다. 또한 최근 영미문학연구회 등을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영문학 작품들에 대한 기존의 번역을 점검하는 노력 또한 다문화사회에 한 걸음 내딛는 우리의 현실을 다시 검토하는 디딤돌이라 하겠다.
역사 속에서 한국사회에 수용되고 적용된 다양한 문화를 밝히다.
한국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시각을 단순히 세계 사조의 흐름을 도입하여 적용하는 정도에 그친다면 물과 기름 같은 서로 다른 차원의 정책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문화 전통의 특성을 보다 심화하여 한국사에서 그 원인을 규명하고 밝히는 과정이 더 필요한 시점이다. 즉, 현재 한국사회의 다문화 관련 연구나 실천 단계는 현실성이 담보되는 사회복지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탄탄한 이론적 기반 없는 사상누각이 될 공산이 크다고 하겠다. 즉,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에 수용되고 적용된 다양한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