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언 5
그림·표 목록 12
제1장 중국 고고학: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형성기(1920-1940년대 18
신중국 고고학의 발전(1950년부터 현재 26
해석 35
중국의 국제협력 연구 39
결론 40
제2장 환경과 생태
지리 43
하천 체계 46
생태 구획 48
고기후, 고환경과 인류의 적응 49
결론 61
제3장 갱신세와 전신세 사이의 포리저와 콜렉터(24,000-9,000 cal.BP
자연환경과 인류의 적응 65
문제와 용어 66
화북지역 갱신세 말기의 포리저 68
화북지역 전신세 전기의 콜렉터 74
화중과 화남의 갱신세 포리저 81
화중의 전신세 콜렉터 85
요약 89
중국 토기의 기원 89
동아시아지역의 토기 기원 93
중국에서의 정주 생활 출현 96
중국 기타 지역에서의 이행 100
결론 100
제4장 동식물의 순화
식물의 순화 103
동물 사육 127
순화의 동력 152
결론 155
제5장 신석기시대로: 신석기시대 전기의 정주와 식량 생산(BC 7000-BC 5000
정주와 생업 전략 확정 160
중국 동북과 북방 지역 162
양쯔강 유역 189
화남지역 199
토의 201
결론 206
제6장 사회 불평등의 출현: 신석기시대 중기(BC 5000-BC 3000
랴오허강 유역 212
황허강 유역 224
양쯔강 유역 241
화남지역 251
결론 255
제7장 초기 복합사회의 흥기와 쇠락: 신석기시대 후기(BC 3000-BC 2000
황허강 유역 260
동북지역 281
양쯔강 유역 282
중국 남부와 서부 294
결론 298
제8장 중원지역 초기국가의 형성: 얼리터우와 얼리강(BC 1900/1800-BC 1250
방법과 정의 302
하 왕조를 찾아서 308
얼리터우문화와 얼리터우 국가 311
얼리터우 국가의 이웃 325
얼리강문화와 얼리강 국가 329
얼리강문화 확장의 결과: 중상의 분권화 343
결론 347
제
친숙하나 잘 모르는 중국고고학
따지고 보면, 중국고고학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주제이다. 중등학교의 교과서에는 양사오문화니 얼리터우 유적이니 하는 중국고고학의 굵직한 테마가 소개되어 있고, 각종 매체는 최근 중국에서 발견된 고대의 유적이나 오래된 물건들을 앞다투어 소개한다. 학계의 경우도 그렇다. 우리나라에도 중국고고학 연구자가 적지 않다. 최근 중국에서 어떤 발굴이 진행되었으며, 그것이 어떤 학술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갑론을박하는 일은 드물지 않다. 중국이 인류 문명의 한 발상지였다는 상식과 거기에서 성장한 문명이 동양문화의 원천이 되었다는 생각은 우리 사회에서 널리 공유된다.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게다가 적어도 근대 이전에는 모든 측면에서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중국에 대해 우리가 잘 모른다는 것이 어쩌면 더 이상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우리는 중국문명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황허강이 중국 고대 문명의 발상지라는 아주 오래전에 통용되던 믿음이 여전히 정답으로 취급된다. 학생들이 아직까지 그렇게 배우고 있다. 중국고고학을 연구하는 전문가도 대부분은 중국의 동북지역에 대해 관심을 가질 뿐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곳에 한국의 선사문화 어쩌면 초기국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먼저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다들 알고 있듯이 그곳이 중국고고학의 주무대는 아니다. 정작 중국고고학이 핵심으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는 연구하는 사람도 적고, 우리 사회에 축적된 지식의 총량도 넉넉하지 않다. 그러나 인류 문명사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위치, 우리 동양문화와의 밀접한 관계 등을 고려하면 여기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우리 지성계의 수평이 확장되어야 한다.
첨단을 달리는 연구
중국고고학이 다루어야 하는 시공의 범위는 대단히 길고 넓다. 중국문명의 형성과 발전을 다루는 이 책의 시간 폭만 해도 대략 1만 년이나 되며, 대상으로 하는 공간 범위는 어림잡아도 우리나라의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