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실록과 회화를 나란히 놓고 읽는 조선사
1부 건국, 국가의 기틀을 잡다
1장 태조, 새로운 세상을 열다
정도전과 아들 사이에서 〈태조 어진〉
2장 태종, 피의 정변을 딛고 왕권을 확립하다
아버지를 뛰어넘은 담대한 꿈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3장 세종, 성군의 길을 걷다
백성을 아낀 임금의 마음 《삼강행실도》
4장 세종과 문종, 그리고 집현전의 친구들
아름다운 그 시절 〈몽유도원도〉
2부 수성, 체제를 완성하고 사화로 얼룩지다
5장 단종, 통치 체제도 지켜주지 못했던 소년 왕
공신과 역적 사이 〈신숙주 초상〉
6장 세조, 피로 얻은 용상에 오르다
극락으로 가는 길 〈관경십육관변상도〉
7장 성종, 다시 성군의 시대를 꿈꾸다
조선 통치의 기준 《경국대전》의 완성 〈명군현비병〉
8장 연산군, 실록이 증언한 최악의 국왕
선비의 화를 기억하라 〈화개현구장도〉
9장 중종,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대립
언론의 자유를 꿈꾼 〈미원계회도〉
10장 명종, 임금의 자리는 어디에
궁궐 너머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서총대친림사연도〉
3부 혼란, 변화의 길목에 서다
11장 선조, 붕당정치가 시작되다
좋았던 시절을 꿈꾸며 〈독서당계회도〉
12장 선조, 조선 최대의 전쟁이 벌어지다
조선의 지배층은 전쟁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무이구곡도〉
13장 광해군, 흔들리는 내치와 실리적인 외교 사이에서
명과 후금 사이에서 현명하게 처신하라 〈파진대적도〉
14장 인조,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치욕을 겪다
임금이라는 사실을 인정받고 싶다 〈금궤도〉
15장 효종, 복수설치의 꿈을 품다
어쩌면 기회였을지도 〈심관구지도〉
16장 현종, 역사상 최악의 기근을 넘긴 임금
은혜가 필요한 시절 〈북새선은도〉
4부 경장, 새 시대를 향해 도약하다
17장 숙종, 붕당정치 속에서 왕권을 강화하다
사제에서 정적으로 〈송시열 초상〉과 〈윤증 초상〉
18장 숙종, 시대가 남긴 또 하나의 얼굴
건국, 국가의 기틀을 잡다
1392년 이 땅에 새 왕조가 들어섰다. 500년을 이어온 고려의 문을 닫은 조선은, 불교를 국교로 숭상하던 고려와 달리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 건국을 선포했다. 왕조 교체를 주도한 이성계는 개국의 군주로 추대되어 후일 태조로 불리게 된다. 태조의 재위 6년 동안 조선은 한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여 새 도읍에 어울리는 궁성을 짓고, 수백 년을 이어나갈 국가의 기틀을 다진다.
실록의 순서를 짚어나가며 저자는 새로운 왕조를 건국하고도 명의 승인을 얻지 못해 청색 곤룡포를 입었던 <태조 어진>을 불러내어, 중국과의 사대 문제로 고민하던 조선의 현실을 보여준다. 가장 오래된 지도로 알려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태종이 왕자의 난을 일으키며 아버지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부푼 꿈이 담겨 있다고 말한다. 백성을 교화시키기 위해 그림과 글을 함께 실은 책을 만들었던 세종의 이야기. 아버지 세종과 함께 집현전의 친구들과 조선을 발전시켜나갔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몽유도원도>를 감상하다 보면 당시 조선이 어떤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갔는지 살필 수 있다.
1392년 태조의 건국에서 정종, 태종을 거쳐 세종의 치세가 마무리되는 1450년에 이르는 시기는 겨우 60년. 왕위 계승을 둘러싼 진통과 제도 정비와 민심 수습만으로도 그리 넉넉지 않을 시간이다. 하지만 이 시간 동안 조선은 신생 국가의 어설픔을 털어내고, 정치와 문화 전반에 걸쳐 성숙한 국가로서의 면모를 두루 갖추어나갔음을 알 수 있다.
수성, 체제를 완성하고 사화로 얼룩지다
건국기를 지나 수성의 시대로 접어든 조선. 세종 이후 문종과 단종까지, 적장자로서 정통성을 부여받은 국왕들이 연이어 즉위했으나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세조이 왕위를 찬탈하며 정국은 다시 혼란에 빠진다. 이 과정에서 세조를 도운 공신 집단에게 권력이 집중되고, 조선 지배층은 훈구인 공신과 젊은 사림으로 나뉘어 경쟁하게 된다.
《조선회화실록》은 여기서 <신숙주 초상>을 불러와 계유정난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