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들어가며:‘開發’에서 ‘發展’으로
1.1. 국제개발에 관한 국정철학의 빈곤 7
1.2. 비판적 국제개발론: 자기성찰적 급진성 14
1.3. 국제정치사회학적 상상력 19
02 국제개발의 비판이론
2.1. 글로벌 수준의 구조적 접근 29
(1종속이론(DependencyTheories/세계체제론(World-System Theory_30
(2글로벌 역사사회학(Global Historical Sociology_36
(3제3세계론(Third World/글로벌 남반구 연구(Global South Studies_40
2.2. 국가 수준의 구조-행위자 관계성 44
(1비판적 발전국가론(Critical Developmental State_45
(2 책무성(Accountability 이론_48
(3 혼합적 거버넌스(Mixed Governance_55
2.3. 글로벌-로컬 연계의 국제정치사회학 57
(1구조화이론(Structuration/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_58
(2 국제사회론(International Society_61
(3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_65
03 국제개발의 사회적 구성: 행위자, 제도화 과정, 정치화
3.1. 국제개발의 주요 행위자 72
(1 정부기관_73
(2 비정부기관_86
3.2. 국제개발의 제도화 과정 100
(1 원조철학과 국익_101
(2 제도화 과정의 유형_106
(3 한국 ODA 정책 및 집행과정_113
3.3. 정권별 국제개발의 정치화 현상 128
04 한국 국제개발의 역사적 형성
4.1. 수원국으로서의 역사 138
4.2. 공여국으로서의 역사 153
(1 유상협력 시행기관 EDCF 설립_154
(2 무상협력 시행기관 KOICA 설립_163
4.3. 선진공여국으로서의 역사 169
(1 사회적 재구성을 위한 국내 제도화 과정_172
(2 사회적 재구성을 위한 국제 제도화 과정_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