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신흥 기술안보의 복합지정학
제1장 동아태 사이버 안보 거버넌스: 국제협력과 지역규범의 모색
I. 머리말
II. 사이버 안보 거버넌스의 분석틀
III. 사이버 안보 국제규범 모색의 현황
IV. 동아태 사이버 안보 거버넌스의 모색
V. 맺음말
제2장 동북아 디지털 군사안보 거버넌스: 인공지능과 자율무기의 활용과 논쟁
I. 서론
II. 4차 산업혁명, 자율무기체계와 미래전쟁
III. 인공지능과 자율무기를 둘러싼 논쟁
IV. 자율무기의 규제를 위한 국제적 노력
V. 한·중·일 삼국의 인공지능, 자율무기 정책
VI. 결론
제3장 동북아 원자력 발전 안전 거버넌스
I. 문제제기
II. 신흥안보와 원자력 발전 안전 거버넌스
III. 한·중·일 원자력 발전 안전 거버넌스
IV. 글로벌 및 아시아 지역 원자력 안전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
V. 나가며
제2부 신흥 환경안보의 복합지정학
제4장 한중 대기환경 협력의 정치: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비교연구
I. 서론
II. 국제와 국가 간 환경 협력의 구체성
III. 구체성에 미치는 요인: 문제의 범위, 경제적 이익, 여론
IV. 사례: 한중 대기환경 협력의 구체성 분석에 미치는 요인 분석
V. 결론
제5장 동북아 에너지국제정치와 지역 협력
I. 서론
II. 신흥 에너지안보의 도전과 대응
III. 국제 에너지시장의 환경 변화와 동북아 에너지국제정치
IV. 동북아 에너지안보를 위한 협력과 경쟁의 주요 분야
V. 결론: 에너지국제정치의 도전과 남북 에너지 협력에 대한 함의
제6장 동북아 보건안보 거버넌스
I. 서론
II. 보건안보와 보건안보 거버넌스
III. 동아시아의 보건안보 도전
IV. 동북아시아의 보건안보 대응과 협력
V. 결론
제3부 신흥 사회안보의 복합지정학
제7장 동북아 대규모 재해·재난 거버넌스
I. 서론
II. 자연재해의 증가와 피해 현황
III. 재난 관리와 국제·지역 협력의 필요성
IV. 재난 관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