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어찌 상스러운 글을 쓰려 하십니까 - 나랏말싸미부터 대한제국까지 우리 교과서 풍경
저자 정재흠
출판사 도서출판 말모이
출판일 2019-09-27
정가 18,000원
ISBN 9791196485115
수량
프롤로그

한 갈래 우리 국어, 한글을 수호하라

갈피1. 혼돈 속에서 탄생한 국어, 한글
갈피2. 순 한글로 쓴 국어교과서, 1897년 『국문졍리』
갈피3. 한글 연구의 아버지, 주시경
갈피4. 우리 국어, 한글을 수호하라
갈피5. 인간의 탐욕에 갇힌 1446년 국어교과서, 『훈민정음해례본』 상주본
갈피6. 불온서적이었던 1446년 국어교과서, 『훈민정음해례본』 간송본
갈피7. ㄱ ㄴ ㄷ ㄹ 소릿값의 탄생, 1527년 국어교과서 『훈몽자회』
갈피8. 한글, 문화게릴라로 활동하다
갈피9. 서당에서 풍월로 읊조린 한글
갈피10. 양반지배층 문학에 우뚝 선 한글
갈피11. 판소리는 우리 토박이말을 얼마나 포용했을까
갈피12. 어린이 도덕교과서, 『소학언해』로 2세기 한글 여행
갈피13. 우리 것의 겸재, 실학의 다산과 연암 그리고 한글
갈피14. 한글 수출을 예견한 한글사랑, 정동유
갈피15. 사막의 오아시스, 1824년 한글교과서 『언문지』
갈피16. 아, 사라져버린 우리 문자, 아래아(ㆍ

두 갈래 우리근대와 하청근대가 다툰 서사적 시간

어름1. 이천만 대한동포여 우리만의 근대를 만들자, 1906년 『초등소학』
어름2. 와 기차가 온다, 1909년 『국어독본(보통학교학도용』
어름3. 16년 천하 한글, 국어에서 지방어로 강등되다
어름4. 신무천황께선 금상폐하의 122대조십니다 『조선어독본(보통학교』
어름5. 최초 근대 음악교과서, 1910년 『창가집(보통교육』
어름6. 우리근대음악 <학도가>와 하청근대음악 <학도가>
어름7. 길흉화복의 별자리에서 근대 천문학으로, 1908년 『천문학』
어름8. 한국엄마 교육열풍 & 유태인엄마 교육열풍 & 『녀??독본』
어름9. 도형, 선, 사물을 그리자, 1907년 최초 근대 미술교과서 『도화임본』
어름10. 덧셈 뺄셈 곱셈 나누기, 1907년 근대 수학교과서 『정선산학』
어름11. 신식 서양부기를 가르치다, 1908년 실업교과서 『
우리의 자랑, 한글은 왜 그토록 우리 민족에게 천시 받아 왔을까?
구한말에 우리 민족 스스로가 이룩한 근대는 정말 없었을까?
이 책은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을 당시 편찬된 교과서를 근거로 명쾌하게 제시한다!

‘어찌 상스러운 글을 쓰려 하십니까’는 단순히 한글을 찬양하거나 그 우수성을 무조건 말하려고 하는 책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 역사의 한 뒤안길에 묻어버리거나 감추고 싶은 이야기를 당시 편찬된 교과서를 근거 삼아 끈질기게 파헤치고 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1446년에 창제한 후부터 조선왕조시대가 저물어가던 19세기 후반, 그러니까 근 450여 년 동안 우리 민족은 한글을 어떻게 수용해 왔는가, 하는 의문과 대답이 이 책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 민족이 마땅히 사용해야 할 문자로 받아들여 왔던가, 아니면 철두철미하게 무시하고 경멸했으며 또 천시해왔던가, 의 여부를 추적해 간다.

한글은 ‘암클’, ‘상말글’이라고 불리며 조선사회에서 철저히 무시당했을 뿐만 아니라 조롱거리였다. 그런데 그 환경에서도 한글은 들풀처럼 조선팔도 전 지역으로 퍼져나간다. 야생화처럼 한글의 생명력은 끈질겼다. 한글은 온갖 고난의 역경 속에서 조선말까지 억척스럽게 살아남는다. 이 대목에서 이 책은 질문을 하나 던진다. 이렇게 질긴 생명력을 가진 한글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이 책의 시간여행은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엮어 나간 것이다.

구한말 우리 역사는 혼돈의 시기였다. 천하디 천한 한글은 아이러니하게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세워준 시기였으나 나라는 점점 서구열강의 먹잇감으로 전락해가던 비참한 시간이었다. 그 이유는 두말할 것 없이 국가적으로 근대화를 이루지 못한 것이 결정적인 패인이었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36년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의 뿌리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우리 민족 스스로가 이루지 못한 근대화를 일제가 건설했다는 논리 앞에 우리는 멈칫할 수밖에 없다.

정말 그럴까?

이 책의 두 번째 의문은 바로 여기에서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