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한국판 서문
역자 서문
발문
서론
제Ⅰ부 도르트총회와 그 역사적 배경
Ⅰ. 도르트총회 이전의 아르미니우스주의 전조(前兆
Ⅱ. 도르트총회 개최까지의 역사적 경위
1. 아르미니우스 논쟁
2. 항론파와 반항론파의 논쟁
3. 빌렘 마우리츠(Willem Maurits의 결정적인 역할
Ⅲ. 도르트총회
1. 도르트총회의 개요
2. 의회의 경과
3. 총회(Synode인가 협의회(Conferentie인가?
4. 항의서에 대한 견해서(見解書의 성립
5. 도르트신조의 성립
6. 도르트신조의 내용
7. ‘벨기에신앙고백’과 ‘하이델베르크신앙문답’의 개정
8. 포스트 엑타(Post-Acta에서의 심의사항
결론
제Ⅱ부 도르트신조 이전의 관련문서들
Ⅰ. 항의서(1610
참고
Ⅱ. 반항의서(1611
참고
Ⅲ. 항론파 견해서(1618
1. 신적작정을 다루는 항의서 제1조항에 대한 견해
2. 그리스도의 공적(功績의 보편성을 다루는 제2조에 관한 견해
3/4.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회심에 대한 제3.4조항에 관한 견해
5. 견인에 대한 제5조에 관한 견해
참고
제Ⅲ부 도르트신조(1619년
네덜란드에서 논쟁의 주요한 교리 5개 항목에 관한 도르트총회의의 결정
서문
제1교리 조항 하나님의 예정에 관해서
⊙ 네덜란드교회가 잠시 혼란하게 된 오해에 대한 배척
제2교리 조항 그리스도의 죽음과 인간의 속죄에 관하여
⊙ 오류에 대한 배척
제3·4교리 조항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을 향한 회심, 그 방식에 관하여
⊙ 오류에 대한 배척
제5교리 조항 성도의 견인에 관하여
⊙ 오류에 대한 배척
결론
참고
제Ⅳ부 도르트신조의 신학적 의미 - 복음의 위로를 구하는 싸움
들어가면서
제1장 “도르트신조”의 전제가 된 “항의서”의 신학적 내용
제2장 도르트신조의 신학적 내용의 개요
제3장 복음의 위로와 “도르트신조”의 서술구조의 문제성
제4장 복음의 위로와 <하나님의 불변성>의 문제
제5
개혁파 신앙 입문서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개혁파신앙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키다 요시카즈 교수의 책 [도르트총회 기독교 신앙을 정의하다(ドルトレヒト信仰規準硏究]를 도르트신조 40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 고베개혁파신학교에서 가르침을 받은 제자 이종전 교수가 번역한 책입니다.
이 책은 도르트신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경으로부터 도르트신조가 완성되기까지 단계별로 과정을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르트신조가 완성되는 과정에서 제출되었던 문서들(항의서-1610, 반항의서-1611, 견해서-1618의 원문이 번역되어 실렸으며, 그와 간단한 해설도 곁들인 것이 이 책의 특별한 점입니다. 도르트신조 원문의 번역도 실렸는데, 라틴어판 원본을 번역하면서 네덜란드어판과 비교해서 각주에서 그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서 도르트신조의 이해를 위해서 가장 좋은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1618년~1619년에 도르트총회가 열렸고, 도르트신조가 교회적으로 고백, 선언되었다. 금년은 도르트총회 4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해이다. 기념해야만 하는 해에 졸저 [도르트신앙규준연구 ? 역사적 배경과 신앙규준, 그 신학적 의의]가 경애하는 이종전 교수에 의해서 한국어로 번역, 출판된 것은 저자로서 매우 영광스럽고, 진심으로 기쁘다.
도르트신조는 개혁파, 장로파교회에 있어서 웨스트민스트신앙고백이나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과 함께 매우 중요한 문서이다. 이 두 문서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도 많은 책들이 출판되어 있다. 하지만 도르트신조에 관한 연구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도르트신조가 나타내는 ‘칼빈주의 5대 강령’은 유명하며, 거기에는 예정론이 문제가 된 것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르트신조의 본문을 직접 읽어본 사람은 분명히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마 한국교회의 경우에도 다르지 않은 상황일 것이라고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본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상황은 개혁파, 장로파의 전통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매우 아쉬운 일이다. 졸저는 도르트신조의 역사적 배경과 라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