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일러두기
1부 空이란 무엇인가?
1. 죽기 전에 알아야 할 空
죽기 전에
죽은 후에
그러나 지금
2. 空의 이해
空의 정의
空에 대한 오해와 진실
空사상은 허무주의인가?
空은 텅 빈 것이다?
空은 실체인가?
3. 空 개념의 역사
초기 경전의 空
空과 무아無我
空과 연기緣起와 중도中道
중론中論의 空과 중도中道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4. 空의 세계
진리의 두 가지 차원
중생이 보는 세상
부처가 보는 세상
5. 空을 보는 법[空觀]
진리[空]를 가리는 것, 중생의 마음
空을 보는 연습
<대념처경>의 가르침
생각을 쉬라
현재 공적空寂
2부 반야심경 해설
1. 경전의 이름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2. 관자재보살에 대하여
3. 총론
4. 각론
5. 반야를 찬탄함
6. 만트라
찾아보기
반야경 계열의 경전 중에는 십만 송에 이르는 긴 것도 있다. 그만큼 경전의 종류와 수가 많다. 아무리 많아도 空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고 넓게 보면 대승불교 자체가 空사상의 토대 위에 세워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반야심경>은 반야경전들의 골수일 뿐만 아니라 불교철학 자체의 골수이기도 하다. [중략] <반야심경>의 한역본이 여럿 있는데 글자수로는 모두 300자를 넘지 않는다. 문자로는 짧지만 뜻으로는 결코 짧지 않은 경전이다. <반야심경>에 담긴 空사상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경전의 바다를 자유로이 유영할 수 있다.(p. 111
이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空이란 무엇인가?”는 空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통해 불교사상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의 이해 → 공 개념의 역사 → 공의 세계 → 공을 보는 법으로 전개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空의 이론적 이해에 그치지 않고, 체험적 측면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空을 사는 법’을 귀띔하고 있다는 점도 이 책의 흥미로운 특징이라 하겠다. 이 책의 간명한 서술방식은 서두의 空에 대한 명쾌한 정의에서 드러난다:
空의 정의는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이다. 한문으로 표현하면 “무자성고공(無自性故空”이다. 이 다섯 글자만 알면 空을 알게 되고, 空을 알면 불교를 알게 된다. 우리말로 풀면 모든 사물은 “자성(自性이 없기[無] 때문에[故] 空하다”는 말이다. 자성이 무엇인지만 알면 해독이 되는 문장이다. 空의 정의를 넘어 불교철학 전반에 대한 이해가 이 한 마디에 달려 있다.(p. 30
?그 뒤를 이어, 空사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경전과 조사들의 어록, 그리고 동서양의 저술들을 종횡으로 인용하면서 空이 불교사상의 핵심인 연기(緣起, 무아(無我, 무상(無常, 중도(中道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모두 ‘최고의 진리’를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을 거듭 천명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空과 연기와 중도는 하나의 진실에 대한 세 가지 표현이기 때문에 따로 떼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