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와 현대사회
제1장 창작판소리의 사적 전개와 전망
1. 창작판소리사에 주목하는 이유
2. 창작판소리사의 시기 구분 및 각 시기의 특징적 양상
3. 마무리
제2장 <적벽가>의 변용과 재창조
1. <적벽가>의 특성
2.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
3.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4. <적벽가>의 현대적 변용과 재창조 작업의 전망과 과제
제3장 또랑광대의 성격과 현대적 변모
1. 또랑광대에 주목하는 이유
2. 또랑광대의 개념
3. 구체적 사례를 통해 본 또랑광대의 성격과 역할
4. 현대사회에서의 또랑광대의 성격의 변모 및 활동상
5. 또랑광대의 의의
제4장 ‘인사동 거리소리판’의 실천적 성격과 의의
1. ‘인사동 거리소리판’의 출현동인
2. ‘인사동 거리소리판’의 성격
3. ‘인사동 거리소리판’의 활동상황
4. ‘인사동 거리소리판’의 문화적 의의
제5장 <뺑파전>의 전승 과정과 구성적 특질
1. <뺑파전>에 주목하는 이유
2. 판소리 <심청가> ‘뺑덕어미 삽화’의 성격
3. <뺑파전>의 성립과 전개
4. <뺑파전>의 구성과 의미
5. <뺑파전>의 의의
제4부
―――
판소리?창극?여성국극
제1장 완창 판소리의 현재와 미래
1. ‘완창 판소리’의 성립과 전개
2. 완창 판소리 무대의 의의와 현재적 위상
3. 완창 판소리의 미래
제2장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상관성
1. 머리말
2. 통시적 측면에서 본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변별적 특징
3.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교섭 양상
4. 마무리
제3장 허규 연출 ‘완판창극’의 특징과 의의
1. 머리말
2. 전통연희의 현대적 재창조 작업에 대한 허규의 관심과 창극 연출
3. 허규 연출 ‘완판창극’의 특징
4. ‘완판창극’의 의의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