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한말 감리교회 역사(1884~1910년
제1장 한국 감리교회 선교 준비와 개척
1. 미감리회의 선교 개척 과정
2. 미감리회의 초기 한국 선교
제2장 미국 남북감리회의 지방 선교
1. 미감리회의 지방 선교
2. 남감리회의 지방 선교
제3장 선교 초기 감리교회의 부흥운동과 신학
1. 초기 부흥운동과 전도운동
2. 초기 감리교회 신학교육과 여성선교
제4장 한말 감리교회의 민족운동과 해외선교
1. 한말 민족운동
2. 해외 한인교회와 해외선교
Ⅱ. 일제강점기 감리교회 역사(1910~1945년
제5장 초기 식민지 치하의 감리교회
1. 105인 사건과 감리교회
2. 1910년대 감리교회의 현황
제6장 3·1운동과 감리교회
1. 3·1운동의 배경과 의의
2. 3·1운동의 준비
3. 만세시위 확산과 감리교회의 수난
4. 3·1운동에서 여성들의 역할
5. 3·1운동 이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
제7장 1910~1920년대 감리교회의 민족운동 및 농촌·사회운동
1. 구국기도회와 국채보상운동
2. 송죽형제회와 이문회
3. 애국부인회
4. 기독교 농촌운동
5. 절제운동
6. 신간회와 근우회
7. 엡?청년회의 재건과 활동
8. 남궁억의 민족 교육과 나라 사랑
제8장 기독교조선감리교회의 형성
1. 남북감리교회 합동의 준비와 합동 배경
2. 조선감리교회의 탄생
3. 한국 감리교회의 정체성과 3대 조직원리
4. 한국 감리교회 교리적 선언과 사회신경
5. 감리교회 한국 선교 50주년 기념행사
6. 아빙돈 단권 성경주석 발행
제9장 1930년대 감리교회의 모습
1. 기독교조선감리회 여선교회의 탄생
2. 남감리교회의 만주·시베리아 선교와 미감리회의 북만주 지역 선교
3. 만주선교연회와 조선기독교회
4. 연회의 발전
5. 양주삼 총리사와 제2회 총회
6. 제3회 총회와 김종우 감독
7. 이용도의 부흥운동과 영성
8. 정경옥의 복음적 자유주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롭게 정리한 역사서
한국 감리교회의 궁극적 선교과제는
교회의 화해와 일치, 민족의 평화통일
머리말
교회 일치와 민족 통일을 꿈꾸며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 책은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목원대학교, 협성대학교 등 감리교계통 신학대학에서 한국교회사를 강의해 온 이덕주, 김흥수, 서영석 등 역사신학 교수들이 신학생들과 감리교회 목회자와 목회 지망생, 그리고 교회임원 교육 및 훈련을 위해 ‘교재용’으로 쓴 책이다.
이 책을 집필한 세 교수는 오래 전부터 한국교회사 및 한국 감리교회사를 강의하면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롭게 정리한 역사서
한국 감리교회의 궁극적 선교과제는
교회의 화해와 일치, 민족의 평화통일
머리말
교회 일치와 민족 통일을 꿈꾸며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 책은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목원대학교, 협성대학교 등 감리교계통 신학대학에서 한국교회사를 강의해 온 이덕주, 김흥수, 서영석 등 역사신학 교수들이 신학생들과 감리교회 목회자와 목회 지망생, 그리고 교회임원 교육 및 훈련을 위해 ‘교재용’으로 쓴 책이다.
이 책을 집필한 세 교수는 오래 전부터 한국교회사 및 한국 감리교회사를 강의하면서 ‘새로운’ 교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앞서 이성삼 교수님과 유동식 교수님, 윤춘병 감독님이 쓴 한국 감리교회사 관련 저술들이 있지만 그동안 발굴된 새로운 자료들을 반영하여 새로운 시대적 환경에서 학술적이면서도 쉽게 읽을 수 있는 한국 감리교회 통사를 써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던 차였다. 그러나 세 교수 모두 개인적인 연구와 밀린 강의 때문에 통사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집필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었다. 세 교수의 통사 집필을 현실로 끌어낸 장본인은 선교국 총무 강천희 목사다.
세 교수는 10년 전부터 매년 한 차례, 수련목회자 선발고시 때마다 한국 감리교회사 채점을 위해 만나곤 했는데 당시 중부연회 총무였던 강천희 목사는 세 교수에게 새로운 통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집필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3년 전 선교국 총무로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