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인도 초기 불탑의 의미와 형식, 그리고 전이양상_ 천득염 04
제1장 다양한 종교의 나라 인도와 불교
현대 국제사회에서의 인도 12
인도의 다양한 종교와 불교 18
인도에 있어서 힌두교 24
제2장 불탑의 의미와 기원
탑의 의미 30
Stpa, 불탑의 어원語源 34
불탑의 기원과 근본팔탑根本八塔 43
불탑 건립의 목적 46
불탑의 종류 49
불탑 이전에도 탑이 있었는가? 56
불탑이 세워진 곳 59
불탑 건립과 공덕功德 63
사리를 모시는 장소와 방법 67
탑돌이를 하는 이유 74
제3장 부처의 삶과 가르침, 그리고 불탑
부처의 전생, 선혜보살과 호명보살 82
고대 인도인들의 종교관과 불교발생 84
부처의 삶과 가르침 88
부처의 열반과 건탑建塔 97
최초의 불교사원과 주변의 탑 100
룸비니와 카필라바스투, 주변의 스투파 104
제4장 인도 시원불탑의 의미
인도 시원불탑의 형식 112
인도 초기 불탑의 유래 116
인도 초기 불탑의 구성요소와 상징적 의미 122
상륜부相輪部의 모습과 상징적 의미 154
우주목宇宙木의 상징 상륜부 156
아소카왕이 세운 불탑과 석주石柱 159
제5장 인도 초기 불탑(스투파형식의 변화 양상
숭가왕조시대(B.C. 2세기~A.D. 1세기전반의 스투파 170
사타바하나왕조(B.C. 30년경부터 A.D. 250년경까지의 스투파 175
쿠샨시대의 스투파형식 191
굽타왕조(Gupta, 320~647시대의 스투파 218
제6장 탑형부조에 나타난 인도불탑의 변모 양상
평지사원에 나타난 탑형부조 236
석굴사원에 나타난 탑형부조 2
우리나라에서 처음 불교가 공인된 것은 372년이다. 기원전 5세기경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스리랑카, 서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중국 등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래되었다. 우리의 산야에는 수많은 가람과 불교문화유산이 자리하고 있다. 그만큼 불교는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종교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몇몇 불교 관련 연구자들을 제외하고 나면 불교문화유산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인도 초기 불탑에 대한 연구서다. 그동안의 연구가 양식사, 시대사 연구에 치우쳤다면 이제 의미론, 비교론적 연구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래서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을 아우르면서 초기 불탑이 어떻게 주변 국가들에 전래되었는지를 비교론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 1>
이란 부제를 붙인 것은 이 책이 인도 불탑의 형식과 의미, 그리고 전래 양상을 아우르는 총론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불교미술을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심이 되는 것 중 하나는 불탑이다. 인도 시원불탑 연구는 19세기 서양인들이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인도의 문화, 예술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고, 근세기 일본학자들도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다. 현대의 한국 불교에서도 비슷한 맥락에서 다양한 연구가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서양서적의 번역이나 일본학자에 의한 것이 주가 되어 왔다. 현재까지 한국에서의 인도문화는 불교미술과 건축적인 분야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부분적이고 피상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다.
한국의 불탑 연구는 근대기에 들어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불탑의 근본을 이루었던 인도불탑의 시원적 형식과 전이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현상적인 측면의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나마 근래 들어 불탑의 시원적 양식과 특징을 연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한국 불탑의 원리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귀한 동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불탑의 의미와 실체 및 형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