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서론 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의 북한 / 김상배
제1부 외교안보 네트워크 속의 북한
제1장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본 북핵 문제와 6자회담 / 전재성
제2장 네트워크로 본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 조은정
제3장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북한 / 김상배
제2부 정치경제 네트워크 속의 북한
제4장 동맹, 무역, 그리고 원조 네트워크 속의 북한 / 박종희
제5장 탈냉전시기 북한의 의존 네트워크 분석 / 우승지
제6장 북-중-러 접경지대 개발협력과 동북아 지역정치 / 신범식
제7장 남북 경제협력의 네트워크 구조와 개성공간 / 김치욱
제3부 커뮤니케이션?인권 네트워크 속의 북한
제8장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북한정권의 국제청중 호소전략 / 송태은
제9장 디지털 미디어와 정치사회변동: 이집트, 아제르바이잔, 북한 사례 / 배영자
제10장 국제인권조약 연결망에서 북한의 위치 / 조동준
제11장 ‘개념적 통합 네트워크’ 속에서 본 북한: EU 대북 전략 텍스트의 환유을 통한 이해 / 도종윤
결론 이론적?정책적 함의 / 전재성
출판사 서평
한국의 국제정치학도들에게 있어서 북한 문제는 태생적 고민일 수 있다. 한반도 분단이 70년간 지속되는 동안, 국제정치 현실은 많이 변했고 그와 함께 그것을 설명하는 이론들도 줄곧 변화해 왔다. 또한 심각한 문제의식 없이 국제정치학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서방학계의 시각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결과, 우리는 한국적 현실과 지구적 차원의 국제정치학의 전개과정 사이에 존재하는 격차를 어떻게 좁혀 나갈 것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우리의 입장에서 서방학계의 이론이나 시각들을 걸러내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
한국의 국제정치학도들에게 있어서 북한 문제는 태생적 고민일 수 있다. 한반도 분단이 70년간 지속되는 동안, 국제정치 현실은 많이 변했고 그와 함께 그것을 설명하는 이론들도 줄곧 변화해 왔다. 또한 심각한 문제의식 없이 국제정치학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서방학계의 시각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결과, 우리는 한국적 현실과 지구적 차원의 국제정치학의 전개과정 사이에 존재하는 격차를 어떻게 좁혀 나갈 것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우리의 입장에서 서방학계의 이론이나 시각들을 걸러내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내의 중견 국제정치학자들이 마음을 모아 집필한 이 책은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
이 책은 기존의 국제정치학 이론들이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북핵과 북한 문제를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의 군사안보와 물적 자원에 초점을 맞춘 권력개념을 넘어서서 최근 사회학이나 물리학, 역사학에서 논의되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통해 비전통안보 분야와 비국가행위자들까지 포함하는 연결망의 맥락 속에서 북한 문제에 접근한다. 그 같은 관점에서 6자회담, 핵미사일, 사이버안보, 무역과 원조, 개혁과 개방, 접경지대 경제협력, 남북경협, 커뮤니케이션 전략, 디지털 미디어 확산, 인권조약, 개념적 통합네트워크라는 북한 관련 주제들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