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눈, 새로운 발견 나는 어떤 눈으로 세상을 볼까?
저자 김융희, 손현철, 홍순
출판사 궁리출판
출판일 2017-07-28
정가 15,000원
ISBN 9788958204701
수량
머리말_ 손으로도 보고, 몸으로도 보며, 마음으로도 봅니다
1강. 보는 게 전부는 아니야 / 김융희
눈과 눈의 마주침이 만들어내는 것들
아름다움이 도대체 뭐야?
나는 누구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걸까?
왜 세잔은 같은 산을 그리고 또 그렸을까?
우리는 눈으로만 세상을 보지 않는다
오이디푸스는 왜 자신의 눈을 찔렀을까?
보이는 것 너머의 진실을 알려면
선과 악이 분명한 세상은 없다
나쁜 눈으로 본다는 건 뭘까?
내 마음의 눈으로 본다는 것
2강. 나는 어떤 눈으로 세상을 볼 것인가? / 손현철
눈이 없는 삶이란? : 헬렌 켈러가 세상을 보는 방법
유추와 상상으로 세계가 확장된다
촉각의 한계
모든 이야기는 빛으로부터 시작했다
진화의 폭발 : 빛과 눈
눈은 스스로 정보를 걸러낸다
눈은 무엇을 보는가?
한 글자 우리말, ‘눈’으로 풀어본 앎과 삶
스티브 잡스의 ‘점’과 ‘점’ 이야기 : 삶이란 ‘점’을 찍고 나중에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
서로 다른 삶과 끼 : 나만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
3강. 중심에서 비켜서 본 세상 풍경 / 홍순명
진짜 같은 그림 속 가짜 세상!
보이는 대로 똑같이 그리는 게 전부일까?
달리기를 하던 소년, 미술의 세계에 눈 뜨다
수도승의 마음으로
예술가를 위한 집을 짓다!
설치미술의 가능성
물방울 하나하나가 모여 거대한 바다를 이룬다
사이드스케이프(Sidescape : 구석진 자리를 보다, 그리다, 지키다
상상화 그리기
4강. 관심이 있는 곳에 눈이 있다 : 사진을 통해 본 눈 이야기 / 이재성
돈에 눈과 마음을 빼앗긴 시대
사진은 지금 이 순간을 잡아둔다
롤랑 바르트, 사랑이 있는 곳에 눈이 있다
수전 손택, 사진은 방아쇠다
발터 벤야민, 아우라의 붕괴
5강. 세상을 뒤집어 본다는 것, 상상과 역상에 관하여 / 고경일
미술대회용 그림은 더는 안 그리겠어!
이야기는 힘이 세다!
만화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만화를 표현하는 세 가지 방식
만화창작,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 몸, 돈, 집, 밥, 품, 힘, 삶…… 한 글자 우리말을 주제로 어마어마한 세상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길담서원 청소년인문학교실’의 아홉 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이번 주제어는 바로 ‘눈’이다. 세상을 보는 ‘시각’, ‘관점’을 주제로 미학자 김융희, 다큐멘터리 PD 손현철, 화가ㆍ설치미술가 홍순명, 만화가 고경일, 길담서원 학예실장 이재성, 길담서원 대표 박성준이 ‘본다’는 것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손으로도 보고, 몸으로도 보며, 마음으로도 봅니다!”
보다+알다+느끼다 - 눈을 새롭게 발견하는 인문학 ...
, 몸, 돈, 집, 밥, 품, 힘, 삶…… 한 글자 우리말을 주제로 어마어마한 세상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길담서원 청소년인문학교실’의 아홉 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이번 주제어는 바로 ‘눈’이다. 세상을 보는 ‘시각’, ‘관점’을 주제로 미학자 김융희, 다큐멘터리 PD 손현철, 화가ㆍ설치미술가 홍순명, 만화가 고경일, 길담서원 학예실장 이재성, 길담서원 대표 박성준이 ‘본다’는 것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손으로도 보고, 몸으로도 보며, 마음으로도 봅니다!”
보다+알다+느끼다 - 눈을 새롭게 발견하는 인문학 교실이 문 열었습니다!
눈은 사물을 보는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우리는 한 사람의 얼굴을 한 번만 봐도 기억하고 인간 뇌의 75%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데 쓴다고 할 만큼 ‘본다’는 것은 우리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단지 눈이 보는 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영어로 이론(theory이라는 말은 ‘보다’는 뜻의 그리스어 테오리아(theoria에서 나왔다. 보는 것을 바탕으로 인간의 지식 역시 차곡차곡 쌓여왔다.(2장 많은 예술가와 철학가들은 눈을 마음의 창, 영혼의 창이라고 말한다.(6장 눈을 보면 그 사람의 내면과 감정을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은 오래전부터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바이다.(1장 말하자면, 눈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기관일 뿐 아니라, 이성과 마음, 감정의 영역을 모두 아우르는 우리 삶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