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9
제1장__문제 제기 15
제2장__정치경제 이론들과 아일랜드 사회협약 29
1. 정치경제 이론들의 비판적 검토 33
2. 이론적 대안과 기본 가설들 83
제3장__‘켈틱 타이거’: 아일랜드의 도약과 발전 방식들 109
1. ‘켈틱 타이거’ 110
2. 외국인직접투자에 기초한 발전 119
3. 발전주의 국가 129
4. 사회협약 149
5.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아일랜드 160
제4장__아일랜드 경제발전 역사: 경제적 민족주의의 재구성 183
1. 경제적 민족주의와 보호주의 185
2. 개방경제로의 전환과 FDI에 기초한 산업화 199
3. 발전주의 국가의 등장과 해체 220s
제5장__아일랜드 노사관계의 역사적 변화 247
1. 경로 혁신적 전환: 다원주의에서 사회협약으로 248
2. 아일랜드의 전통적 체제: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269
제6장__사회협약 체제로의 전환 293
1. 1970년대 코포라티즘적 사회 조정의 실패 원인 296
2. 코포라티즘적 사회 조정 체제로의 전환 318
제7장__사회협약의 제도화, 진화, 그리고 해체 359
1. 유사한 위기와 상이한 대응 362
2. 제도화의 정치: 안정과 변화의 동학 387
제8장__맺음말 443
참고문헌 461
찾아보기 491
출판사 서평
세계화 시대, 아일랜드는
어떻게 ‘자유시장’ 모델이 아니라
‘사회협약’ 모델을 통해
경제 도약에 성공할 수 있었는가?
- 단순 ‘자유시장’이나 ‘형식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보다 심화된 민주 사회에는 어떤 형태들이 존재할 수 있고 그것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 세계화 시대에는 자유시장 논리에 기초한 신자유주의만이 유효한 대안인가?
- 사회적 협치 혹은 코포라티즘적 사회협약의 정치는 위계적?포괄적 이익대표 체계, 강력한 사회민주주의 정당, 합의제 의회 제도 등과 같은 제도적 조건하에서만 ...
세계화 시대, 아일랜드는
어떻게 ‘자유시장’ 모델이 아니라
‘사회협약’ 모델을 통해
경제 도약에 성공할 수 있었는가?
- 단순 ‘자유시장’이나 ‘형식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보다 심화된 민주 사회에는 어떤 형태들이 존재할 수 있고 그것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 세계화 시대에는 자유시장 논리에 기초한 신자유주의만이 유효한 대안인가?
- 사회적 협치 혹은 코포라티즘적 사회협약의 정치는 위계적?포괄적 이익대표 체계, 강력한 사회민주주의 정당, 합의제 의회 제도 등과 같은 제도적 조건하에서만 가능한 것인가?
- 제도의 성공적인 안정화 혹은 제도화 과정이 어떻게 제도의 붕괴와 해체를 위한 씨앗을 잉태하는가?
1. 단순 ‘자유시장’이나 ‘형식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보다 심화된 민주 사회에는 어떤 형태들이 존재할 수 있고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 문제는 1987년 민주화와 1997년 외환 위기 등을 경험하며 동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한국인들이 풀고 싶어 하는 중요한 화두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 사회의 많은 지식인들은 오래 전부터 서유럽 선진 국가들이 가진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다양한 결합 방식들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고 그것으로부터 우리나라는 어디로 어떻게 가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의 준거점과 전망을 찾고 싶어 했다. 스웨덴 모델, 핀란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