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기회와 성과
한국의 근대와 종교 개념, 그리고 연구 방향 모색을 위한 하나의 사례 | 장석만
1. 근대라는 것
2. 한국 근대라는 것
3. 한국 근대의 종교 범주라는 것
4. 인류학의 존재론적 전환
5. 마무리 말
근대이행기 한국종교사 연구 시론 : 19세기 한국천주교사를 중심으로 | 조현범
1. 서론
2. 박해와 순교에 대한 종교사적 해석
3. 근대적 개념의 중층적 의미 구성: 양심의 경우
4. 교와 종교의 거리에 대한 숙고: 단절 테제와 벡터 테제
5. 결론
새로운 세계종교 수업을 위한 제언 : 전통과 이론의 구분을 넘어선 세계종교교육 | 방원일
1. 머리말: 종교학의 텃밭과 이론
2. 세계종교 수업에 대한 반성과 대안
3. 한국에서 세계종교 가르치기:『세계종교사입문』
4. 맺음말
‘종교문화비평’의 관점과 시야, 그리고 외연 | 신광철
1. 서론
2. ‘종교문화비평’의 관점
3. ‘종교문화비평’의 시야
4. ‘종교문화비평’의 외연
5. 결론
제2부 비평과 성찰
‘종교’ 개념과 ‘종교하는 인간’의 차이를 생각하며 | 심형준
1. ‘종교’ 개념 묻기의 매혹
2. 석마니스트들
3. ‘종교’ 개념사 논의의 함의와 딜레마
4. 대안 혹은 우회로의 탐색
5. ‘종교하는 인간’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
한국종교사개론에 대한 상상 | 안연희
1. 들어가며
2. 종교학과 종교사, 한국종교학과 한국종교사
‘전통’과 ‘이론’의 분리에 대하여 사유하기 | 임현수
1. 문제의 수용
2. 문제의 반추와 비판
3. 문제의 적용
4. 에필로그
제3부 도전과 상상
역사학적 종교 연구의 동향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 한국종교사 연구를 중심으로 | 김유리
1. 들어가며
2. 한국종교사 서술의 문제의식
3. “왜?”라는 질문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인지종교학적 역사 서술의 가능성
4. 최근 한국종교사 연구의 주요 성과: 이욱과 최종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5. 결론: 한국 종교 연구에 임하
근대 한국종교의 형성, 기독교적 종교 관념의 보편화 과정
우리는 현재 우리가 당연시하는 종교라는 범주가 오래전부터 우리 삶의 안팎에 공존해 왔다고 생각하지만, 오늘날 횡행하는 유형의 종교 집단은 사실 근대 시기의 산물에 불과하다. 게다가 그 (현재의 종교는 전통적이고 오래된, ‘교(敎-학(學-도(道’가 종합되고 통섭된 존재 양식으로 존재해 온 우리 사회 (본래의 종교적 전통을 전근대적인 것으로 매도하여 도태시키고, 기독교적 관점의 서구적 ‘종교’가, 즉 제도종교와 세계종교가 보편적인 것이고 근대적인 것(=발전적인 것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제국주의적으로 세뇌한 데 따라 형성된 것이다.
1987년 이후 이후 한국 사회가 서구적 근대화에 대한 콤플렉스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면서, 그리고 2000년대 이후 근현대 과학을 기반으로 한 문명시대로 접어들면서 종교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위축되면서 종교는 이제 종교 인구와 영향력을 세속에 이전하여 그 영화(榮華를 지속해 나가려고 기도(企圖한다. 대형화와 세습화가 그 지표이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허물어지기 시작한 모래땅 위에 더 견고한 하중을 실어 몰락을 재촉하는 어리석은 짓에 불과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오늘 우리 사회의 종교 지형과 (현재의 종교 관념은 사실상, 해방 이후 미군정기 상황과 전쟁 이후 월남해온 이북 출신의 (반공적, 근본주의적 기독교인들, 그리고 분단 고착화 이후 한국 사회가 (근대 기독교 종주국으로서의 미국 의존 국가사회로 재편되는 과정과 상호 교섭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종교 지형은 심층의 유교적, 무교적 기반 위에 중층의 기독교적 기반 위에서 기독교(개신교, 천주교와 불교와 기타 종교(신종교, 유사종교 등이 형성된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오늘날 한국에서 종교란 어떤 종교를 막론하고 기독교적 종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그 기독교화의 과정은 정확하게 ‘종교라는 독성(毒性’의 보편화 과정, 혹은 독성(毒性적 종교의 득세(得勢 과정이었다.
종교의 자유에서, 종교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