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_ 백옥같이 갓맑은 살결의 감촉을 평생 칭송하리라
chapter 1 임란 이후 조선과 일제강점기 도자 산업
1/ 굶어 죽은 광주 분원의 사기장들
조선 왕실의 살림, 궁핍해질 대로 궁핍해지다|청화백자의 지극히 짧았던 황금기|광주 분원, 민영화로 넘어가다
2/ 일본 사기와 조선 자기의 위치 역전
조선이 일본에 도자기를 주문한 기록|조선 점령에 앞장 선 일본인 도자기 판매상들|하사미 그릇이 한반도에 범람하다
3/ 일제강점기 일본인 도자 사업가와 수집가들
납치된 청자 사기장의 일본인 후예가 조선에서 청자를 되살리다
chapter 2 고려청자 부활의 시작
1/ 일제의 조선 도자산업 말살 정책
일본인 설립 요업공장의 폭발적인 증가|난항에도 자생력이 발현된 조선인 사기장들의 활약|‘재현 청자’의 등장
2/ 칠기가마는 하늘의 뜻이런가?
이천 도자기의 역사적 배경|부활의 시작, 성북동 가마와 대방동 가마|칠기는 무엇인가?
3/ 이천 도예촌 1세대 대표 3인과 ‘3대 물레대장’
이천 도예촌의 형성|청자 재현의 영원한 명장 유근형과 대한민국 명장이 된 아들 유광열|해강이 처음 청자를 구운 남곡 고승술의 칠기가마|최초로 고려청자 재현한 도암 지순탁|조소수의 청자가 북한 평양에서도 만들어진 사연|‘광주요’가 한식의 세계화를 앞장서서 이끌다|이천의 ‘3대 물레대장’과 그 제자들
4/ 한일 국교 정상화가 ‘이천 청자’를 부흥시킨 슬픈 아이러니
청자, 없어서 못 팔다|일본 상인들이 버려놓은 도자 관련 순수 우리말|일본인 다니 준세이의 고려청자 조작 사기극
chapter 3 이천의 중흥과 2세대 명장들
1/ 이천 가마, 1980년대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
숙련된 신진 사기장들의 활약
2/ 이천을 부흥기로 이끈 2세대 대한민국 명장들
8명의 대한민국 명장들
한청 김복한l세창 김세용l한도 서광수l항산 임항택l효천 권태현l수안 장연안l벽옥 최인규
3/ 이천시를 빛내는 명장들
400여 명의 도예가들의 활동이 있
사기장이 불러일으킨 도자기의 혼,
‘이천 도자 이야기’
일제강점기를 거친 한국 도자기는 칠기만을 겨우 만들며 명맥을 이어오다 1950년대 칠기 장인들이 뜻을 모아 고려청자를 재현하는 데 모든 열정을 쏟으면서 조금씩 살아나기 시작했다. 특히 고려청자를 재현해낸 우리나라 대표적인 사기장인 인간문화재 청자도공 해강 유근형의 정열과 집념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우리는 고려청자의 재현품을 보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의 경이로운 재현품으로 인해 고려청자에 관심을 가지는 당시 젊은 사기장들이 이천에 하나둘 모였고, 그것을 발판으로 유네스코 창의 도시로 지정된 이천에서 한국 도자가 부흥할 수 있었다. 이천 도예촌 1세대 대표 3인이라고 하면 해강 유근형, 남곡 고승술, 도암 지순탁을 뽑을 수 있다. 그 외에도 광호 조소수, 이천의 3대 물레대장인 홍재표, 고영재, 이정하의 도자기에 대한 집념은 현재 이천에서 활동하는 400여 명의 사기장들에게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한국 도자 역사의 완성을 이룬
흙에서 도자로 가는 여정
대한민국에서 한국 도자사를 풀어놓은 단행본 책은 극히 드물다. 그래서 청자와 백자의 역사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 그저 알고 있는 지식이라고는 ‘세계 최고의 도자기였다’라는 사실 정도인데 이것 또한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과거형이다. 역사 교과서나 미술 수업에서도 청자와 백자가 우리의 고달픈 역사 속에서 어떻게 번성했고 일제강점기를 통해 어떻게 쇠망해갔으며 그것이 어떤 힘겨운 노력 덕택으로 부활했는지 가르치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저 흙이 좋아 빚고, 굽고, 바르고 또 굽는 작업에 자신의 전 생을 바치는 사기장들이 많은데도 말이다. 『이천 도자 이야기』는 한국전쟁 이후의 폐허 속에서 칠기공장만 몇 개 남았던 마을이 어떻게 한국 도자기의 메카가 되었는지에 대해서 소상하게 밝히고 있다. 그 과정 속에서 역사적으로 꼭 알아야 할 사실도 발견했다.
이 책은 한국 도자산업 부활의 역사 페이지를 채워가는 의미 깊은 작업으로서, 이천 도자기는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