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부 그리스도 신앙인의 정체성
들어가면서
1. 그리스도인
2. 그리스도인의 의식
3. 그리스도 신앙의 특성
4. 그리스도 신앙인의 다양성
5. 인류 역사 안에 살아온 그리스도 신앙인
6. 신神이라는 단어
7. 그리스도 신앙인으로 사는 것
나오면서
제2부 인간의 죽음과 그리스도 신앙의 희망
들어가면서
1. 죽음, 참다운 삶으로 난 통로
2. 죽음이라는 모순
3. “죽음아, 너의 승리가 어디 있느냐?”
4.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희망
5. 그리스도 신앙인의 희망인 ‘하느님 나라’
나오면서
참고 도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
『그리스도인-그 정체성과 죽음과 희망』의 저자 서공석 신부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신학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국내 가톨릭계에서 아주 드문 신학자이다. 해석학적 성찰은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고 오늘의 맥락에서 신앙언어를 새롭게 해석한다. 신앙언어가 생성된 원래의 맥락과 오늘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서 의미를 탐색하기에 해석 주체인 인간과 언어의 역사성을 진지하게 고려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죽음과 희망에 대해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저자의 시좌는 다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
『그리스도인-그 정체성과 죽음과 희망』의 저자 서공석 신부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신학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국내 가톨릭계에서 아주 드문 신학자이다. 해석학적 성찰은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고 오늘의 맥락에서 신앙언어를 새롭게 해석한다. 신앙언어가 생성된 원래의 맥락과 오늘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서 의미를 탐색하기에 해석 주체인 인간과 언어의 역사성을 진지하게 고려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죽음과 희망에 대해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저자의 시좌는 다음 표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스도인은 성서를 읽을 뿐 아니라, 성서를 해석하고 해설하는 언어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2000년 혹은 3000년 전의 문서가 그 시대 방식으로 말하는 바를 오늘을 사는 사람으로서 해석하여 제대로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29쪽
우리 시대의 감수성에 부합하는 신앙언어를 찾고자 공을 들여 온 저자의 노고는 본서 곳곳에서 드러난다. “우리는 현대인이다. 우리는 성서가 기록된 시대의 독자가 아니다. 시대가 달라지면, 같은 문서가 발생시키는 메시지도 달라진다.”(14쪽 당연하게 들리는 이러한 발언을 곱씹어 봐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적지 않은 사목자들과 신학자들조차도 과거의 신앙언어를 그대로 반복하거나 교계적 권위에만 기대는 경우가 흔히 있기 때문이다. 때로 해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