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서 만난 ‘꽃’과 같은 아이들
편의점에서 빵을 훔치는 세명을 우연히 본 소미는 아이를 불러 세워 절반을 빼앗아 먹지만, 이내 가지고 있는 김밥을 선뜻 내어주며 집으로 가라고 채근한다. 세명은 그런 소미를 따라나서고, 둘은 어느 병원 지하실로 내려가 쌓아놓은 종이박스 안에서 지친 몸을 누인다. 그렇게 세명과 소미는 거리에서 만난다. 말은 거칠게 하지만 속마음은 따뜻한 소미를 따라 세명은 거리 곳곳을 누비며 폭력을 휘두른 아빠를 생각하지만, 혼자가 아니기에 즐거운 마음이 더 크다. 게다가 소미에게는 자신의 꿈 이야기도 들려줄 수 있다. 세명의 꿈은 초콜릿 공장 사장이 되어 가난한 아이들에게 초콜릿을 실컷 나누어주는 것이다. 소미 역시 붙임성 있고 밝은 성격의 세명이 싫지 않다. 거리에서 노숙을 한 지 꽤 된 소미는 그동안 험한 꼴을 여러 번 당할 뻔했고, 그날도 세명이 아니었다면 낯선 남자에게 끌려갈 뻔했다. 두 아이는 친 오누이처럼 서로를 보듬으며 거리 생활을 시작한다.
도시는 집을 떠난 아이들이 살아가기에는 모질고 험하다. 잠잘 곳도, 먹을 것도 없는 아이들은 장례식장에서 밥을 얻어먹기도 하고 버려진 차에 들어가 잠을 자기도 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하지만, 두 아이를 가장 괴롭히는 것은 부모로부터 ‘방치되고 버려진’ 상실감에서 비롯된 마음의 상처다. 술만 마시면 폭력을 휘두르며 모진 말을 늘어놓는 아빠를 증오하는 세명, 엄마가 죽기 전에는 더없이 자상했지만 새엄마를 만나면서 변해버린 아빠가 원망스러운 소미.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는 거리의 아이들에게는 배고픔이나 노숙의 고통보다 더한 마음의 고통을 안겨주었고, 그 고통에 대해 이제껏 제대로 표현하지도 위로받지도 못했다.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고 분노하고 슬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거리에서 만난 세명과 소미는 서로에게 자기 상처에 대해 고백하고, 그 상처를 서로 보듬으며 위로를 건넨다. 어른에게 받은 상처를 아이들은 서로 의지하며 치유해나가는 것이다. 소미와 세명은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