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도판
들어가며
1. 개인의 정체성에 관한 로젠버그의 탐구
1.1 마르크스주의의 분석적 재고
1.2 실존주의 철학의 수용
2. 자기 창조로서의 행동 개념
2.1 로젠버그의 행동 개념 고찰
2.2 아방가르드에 관한 논의
2.2.1 그린버그의 아방가르드 개념
2.2.2 로젠버그가 제시하는 아방가르드
3. 공동체의 개념
3.1 보들레르의 비평적 입장의 수용
3.2 다운타운 뉴욕에 위치한 예술 공동체
3.2.1 클럽 (The Club
3.2.2 9번거리 전시 (The Ninth Street Show
3.2.3 10번거리 (Tenth Street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모더니즘 비평 담론의 주변으로 밀려 그 비평적 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해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 1906-1978가 제시한 예술에 대한 혁신적인 개념을 심층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로젠버그가 제시한 “행동action”으로서의 예술 개념은 작품의 내적 논리를 강조하고 양식적인 새로움을 추구하는 미적 아방가르드와 차별되는 개념이다. 로젠버그는 ‘행동’으로 예술을 정의하고 예술의 사회적, 문화적인 의미와 능동적인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 책의 목적은 예술의 미적 가치를 획일적으로 평가했던...
이 책은 모더니즘 비평 담론의 주변으로 밀려 그 비평적 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해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 1906-1978가 제시한 예술에 대한 혁신적인 개념을 심층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로젠버그가 제시한 “행동action”으로서의 예술 개념은 작품의 내적 논리를 강조하고 양식적인 새로움을 추구하는 미적 아방가르드와 차별되는 개념이다. 로젠버그는 ‘행동’으로 예술을 정의하고 예술의 사회적, 문화적인 의미와 능동적인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 책의 목적은 예술의 미적 가치를 획일적으로 평가했던 비평의 담론 아래 간과된 로젠버그의 비평적 시각이 가지는 저항적인 의미를 재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평가를 통하여 형식주의 모더니즘 이론이 형성되었던 시기에 이미 그 한계에 대한 비판이 진행되었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단초를 마련하는 비평적인 작업이 병행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예술가의 창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감각, 감성, 경험에서 아방가르드의 근원을 찾고자 했던 로젠버그가 제시한 ‘행동’ 개념이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영역을 문화의 영역에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