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진리란 무엇인가? (붓다와 마음, 진리의 실현
저자 혜담
출판사 민족사(동숭동
출판일 2019-05-05
정가 13,800원
ISBN 9791189269319
수량
이 책을 쓰게 된 인연 ?―?005

제1장 부처[佛·부처님·Buddha]

진리란 무엇인가 ―?017
불교라는 방편(方便 ―?017
불교(佛敎라는 말의 의미 ―?022
종교(宗敎라는 말의 의미 ―?027

붓다(Buddha가 계시는 곳 ―?034
불전(佛典에 나타나 있는 고따마 붓다 ―?034
고따마 붓다의 성불(成佛 ―?039
고따마 붓다의 관조(觀照 수행[觀修行 vipa?yn?] ―?043

부처[佛·부처님·uddha] ―?047
부처[佛·부처님·uddha]를 찾는 선수행(禪修行 ―?047
법안(法眼 선사의 ‘그대는 혜초니라’ ―?051
(1 법안종을 창시한 법안 선사 ―?051
(2 법안 선사의 병정동자래구화(丙丁童子來求火 ―?054
(3 본칙에 대한 설두 선사의 송(頌 ―?059
동산(洞山 화상의 ‘삼 껍질 세 근[麻三斤]’ ―?064
(1 운문 선사의 법제자 동산수초 화상 ―?064
(2 본칙에 관한 원오 선사의 비평과 해설[評唱] ―?065
(3 본칙에 대한 설두 선사의 송(頌 ―?068
운문(雲門 선사의 ‘똥 젖는 막대기[乾屎?]’ ―?074
(1 운문종을 창시한 운문 선사 ―?074
(2 똥 젖는 막대기[乾屎?] ―?075
(3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 ―?079
(4 본칙에 대한 무문(無門 선사의 송(頌 ―?082
(5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의 자정기의(自淨其意 ―?084
(6 인간무죄(人間無罪의 선언 ―?090
마조(馬祖 선사의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卽心卽佛]’ ―?092
(1 조사선을 확립한 마조 선사 ―?092
(2 대매법상(大梅法常 선사의 깨달음 ―?096
(3 『마조록』 「시중(示衆」의 첫 법문[Ⅰ] ―?100
(4 무문 선사의 평과 송 ―?102
마조(馬祖 선사의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非心非佛]’ ―?109
(1 즉심즉불(卽心卽佛과 비심비불(非心非佛 ―?109
(2 『마조록』 「시중(示衆」의 첫 법문[Ⅱ] ―?112
(3 고따마 붓다의 중도 대 선언
선의 관점에서 불교 진리를 밝히다!
이 책 집필의 원동력은 광덕 스님의 말씀

“인간 삶의 의미를 찾는 종교가 불교이고, 불교가 발견한 삶의 의미를 체득하기 위해서 부처를 찾는 행위를 선수행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소납도 한 30여 년 전에 해오의 상사각을 진정한 깨달음으로 착각하여 기고만장하던 때가 있었습니다만… 말할 수 없는 도리라고 해서 언제까지나 입을 다물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허물인 줄 알면서도 사족을 붙여보게 된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이 책의 저자인 혜담 스님은 광덕 스님(불광사 불광법회 법주의 제자로서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오래도록 ‘공사상(空思想’ ‘반야사상’을 연구해 왔다. 귀국 후에는 수십 년 동안 선수행을 하는 한편 도심포교 도량으로 유명한 불광사에서 대중들에게 법을 설하고 지도해 온 이사(理事를 겸비한 분이다.
혜담 스님은 이 책 진리란 무엇인가를 집필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이 광덕 스님임을 토로한다.

“부처님은 법신(法身이다. 번뇌가 다한, 번뇌가 끊어진 것이 아니라 번뇌가 본래 없다는 것을 알아버린 것이다. 즉 실제로 부처님께서 깨달은 법문은 상(常ㆍ락(樂ㆍ아(我ㆍ정(淨이다. 사람의 본성이 법신이고 부처님의 진리로서 자기 생명을 갖춘 자리고 불성이고 법성이다. 그런 몸인 까닭에 이 진리의 세계에서 보면 진리는 무상한 것도 아니요, 고통스러운 것도 아니요, 아(我가 없는 것도 아니요, 더러운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이다. 사람의 본성은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다. 나의 진실생명의 세계는 떳떳한 것이며 변치 않는 것이고 즐거운 것이지 고통이 아니다. 나는 무아(無我가 아니라 진실한 불성으로서의 자신이 있는 것으로 그것은 지극히 청정한 것이다.”라고 하신 광덕 스님의 말씀이 반야바라밀과 조사스님들이 남긴 화두를 혜담 스님 나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눈을 열어주었고, 그 덕분에 이 책을 집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광덕 스님의 영향을 받고 반야공사상과 선수행에 천착한 혜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