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연표
6월항쟁의 배경
첫 번째 마당
민의 돌풍 거셌던 2·12총선,
죽었던 정치의 부활 알리다
두 번째 마당
노동 운동에 한 획을 그은
1985년 구로 동맹 파업과 대우차 파업
세 번째 마당
수입 개방 농정으로 궁지에 몰린 농민들,
소몰이 투쟁으로 맞서다
네 번째 마당
눈물바다 이룬 남북 이산가족 첫 상봉
그런데 정상 회담은 왜 무산됐을까
다섯 번째 마당
광주 학살에 대한 미국 책임을 전면에 부각한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
여섯 번째 마당
‘고문 왕국’ 남영동 대공분실,
끔찍한 고문 폭로한 김근태
일곱 번째 마당
5·3사태 빌미로 전면 탄압 나선
전두환 정권의 영구 집권 꼼수, 내각제
여덟 번째 마당
시민들의 KBS 시청료 거부 운동,
권인숙의 ‘성고문’ 진실 밝히기
아홉 번째 마당
한 기자의 ‘보도지침’ 폭로,
언론 자유에 새 길을 열다
열 번째 마당
개헌 분쇄 노린 전두환의 총공세,
유성환 국시 발언 사건과 건국대 사태
열한 번째 마당
개헌 열기 무산 노린
전두환의 희대의 ‘공포 사기극’, 금강산댐 사건
열두 번째 마당
조선일보가 띄우고 전두환이 부추긴
세기의 오보, 김일성 사망 소동
열세 번째 마당
비상 조치 카드로 야당 협박,
난데없는 이민우 ‘구상’으로 야당 분열
나가는 말
‘6월항쟁’과 ‘도도한 민주화 물결’
18~20권의 주제는 ‘6월항쟁’과 ‘도도한 민주화 물결’이다. 서중석 교수는 6월항쟁을 한국 현대사의 세 번째 ‘해방’이라고 평가한다. 1945년 8월 15일이 첫 번째 해방이라면 1960년 4월혁명은 두 번째 해방, 6월항쟁은 세 번째 해방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해방은 크고 깊었지만 분단 속에서 거센 역풍을 맞았고, 두 번째 해방은 박정희 세력의 쿠데타에 의한 반동으로 된서리를 맞았다. 세 번째 해방인 6월항쟁도 1987년 대선에 패배하는 등 갖은 풍파와 맞닥뜨려야 했다. 그럼에도 6월항쟁으로 쟁취한 세 번째 해방은 한국 사회에 기본적 자유, 자치적 시민 활동, 절차적 민주주의의 큰 틀이 상당 부분 자리 잡게 만들었다. 6월항쟁은 서슬 퍼런 전두환 정권을 무너뜨리고 한국 사회에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과 평화의 길을 연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18~20권에서는 6월항쟁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그 전개 과정은 어떻게 되었는지, 그 이후 한국 사회는 어떻게 변했는지를 집중 조명한다. 즉 이 세 권을 통해 6월항쟁 전후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동안 6월항쟁은 민주화 운동 세력의 눈으로만 바라다본 측면이 있다. 서중석 교수는 이런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전두환 정권의 움직임, 전두환과 노태우의 갈등의 순간, 그리고 그들이 남긴 자료 등을 꼼꼼히 살피며 6월항쟁이 가지는 의미를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또 연일 계속 일어나는 대규모 시위에 전두환·노태우가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한 이유와 그것이 갖는 의미도 세밀히 살폈다. 특히 장세동이 안기부장에서 물러난 게 6월항쟁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장세동은 전두환 정권 전반기 3년 7개월은 청와대 경호실장으로, 후반기 2년 3개월은 안기부장으로 전두환을 받들어왔다. 그러나 박종철 고문 사망 은폐 조작 폭로가 몰고 온 1987년 5·26 전면 개각으로 장세동은 안기부장직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장세동이 안기부장 자리에 그대로 있었더라면 전두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