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전염병의 기원
아프리카에서 인류의 조상이 출현한 이후 소규모 수렵공동체를 이루고 생활할 때까지 인류는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느 정도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균형상태에 변화가 생긴것?은 인류가 농경을 하고 가축을 기르며 정착생활을 하면서부터다. 농업생산이 늘어나자 당연히 인구도 급격히 증가했다. 늘어난 인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농경지를 개간하면서 자연환경을 농경에 적합하게 만들고 가축을 사육하자 일부 종의 동식물이 과다 증식하게 되었고, 반면에 종의 다양성은 파괴되었다. 종의 다양성이 파괴된...
전염병의 기원
아프리카에서 인류의 조상이 출현한 이후 소규모 수렵공동체를 이루고 생활할 때까지 인류는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느 정도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균형상태에 변화가 생긴것은 인류가 농경을 하고 가축을 기르며 정착생활을 하면서부터다. 농업생산이 늘어나자 당연히 인구도 급격히 증가했다. 늘어난 인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농경지를 개간하면서 자연환경을 농경에 적합하게 만들고 가축을 사육하자 일부 종의 동식물이 과다 증식하게 되었고, 반면에 종의 다양성은 파괴되었다. 종의 다양성이 파괴된다는 것은 먹이사슬이 단축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기생생물의 잠재적인 먹이가 인간공동체 내에 밀집하는 사태로 이어졌다. 특히 관개시설의 확충은 미시기생체의 이동을 수월하게 해주었고, 도시의 발달은 인구의 집중을 가속화시켰다. 도시의 인구밀도가 어떤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기생생물에 의한 감염증이 인간을 통해 인간으로 전파되는 그야말로 걷잡을 수 없는 대량감염으로 폭발했다. 인류 역사에 나타난 전염병에 의한 떼죽음은 이렇게 해서 시작되었다.
전염병이 인류 문명에 미친 영향
전염병이 인간에게 고통만 준 것은 아니다. 고대 문명의 형성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크나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한 힌두 문화는 세력이 막강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 동남부의 고온다습한 숲지대 종족을 완전히 정복하지 못하고, 이들을 불가촉천민으로 규정하여 소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