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배경
머리말
서론
제1장 인과율에 대한 고찰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처럼
선형적 단일 방향 인과 패러다임
서양의 단일 방향 인과율
인도의 단일 방향 인과율
서양의 상호인과 패러다임
상호인과율에 대한 불교의 시각
불교와 일반시스템이론의 상호보완적 해석
제2부 상호인과율에 대한 이해
제2장 불교의 연기설
다르마에서 인과론의 중심 역할
불교 이전 인도의 선형 인과율
서양의 선형적 견해들과의 비교
연기에 대한 불경의 설명
제3장 상호인과율로서의 연기
실체에서 관계로
제일원인은 없다
상호의존의 구문론
인과 요소들의 상호성
아비다르마의 해석
상호의존으로서의 연기
제4장 일반시스템이론
단일 방향 인과 패러다임이 갖는 과학의 문제들
시스템에 대한 생명과학의 이해
인공두뇌학과 피드백 개념
시스템적 불변성과 계층조직
사회과학에서의 시스템이론
인지 시스템
시스템과 가치
제5장 일반시스템이론의 상호인과율
시스템 안에서의 원인들의 변환
인과 고리로서의 피드백
네거티브 피드백 과정
포지티브 피드백 과정
원인에 대한 고찰
제3부 상호인과율의 여러 차원
제6장 과정으로서의 자아
모든 것은 변한다
자아를 개별적이라고 생각하는 착각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치명적인 망상
제7장 아는 자와 알려지는 것의 연기
요인들의 수렴으로서의 지각
의식: 조건에 의해 변천하는 것
정보 회로
투사를 통한 세계 만들기
자기 재조직으로서의 학습
인지의 한계
대상 없는 앎
아는 자는 누구인가
제8장 몸과 마음의 연기
선형적 견해들
서로 기대고 있는 두 개의 갈대 단처럼
동전의 양면
모든 시스템의 내면성
마음의 편재성과 특징
물질에 대한 두려움을 넘어서
마음쓰기
제9장 행위자와 행위의 연기
자기동일성과 책임
환생의 문제
까야(身와 까르마(業
구조와 작용
과거와 현재
다르마와 결정론
선택의 결정성
결정 주체로서의 인지 시스템
제10장 자아와 사회의
현대 서양사상과 고대 동양철학의 만남,
일반시스템이론과 불교를 통해 본 자연 시스템의 법칙(Dharma
생태철학자이자 불교학에도 깊은 조예가 있는 저자 조애너 메이시는 기원과 목적이 너무나도 다른 불교의 연기법과 현대의 시스템이론이 상호해석 가능하며, 이를 통해 두 사상을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두 사상을 연결하는 고리는 상호인과율이다. 상호인과율이란 쉽게 말해서 원인과 결과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뜻이다.
인과의 과정을 생각할 때 사람들은 흔히 원인은 과거이고 결과는 미래로 인식한다. 따라서 원인은 당연히 결과에 영향을 주지만, 결과가 원인에 영향을 준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원인과 결과가 순차적으로 일어나고 끝을 맺는다고 생각해왔다. 이것을 직선과 같이 단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인과론이라고 하여 ‘선형 인과론’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인류 대부분은 이러한 선형 인과론의 사고 틀에 사로잡혀 있었다. 선형적 사고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법칙을 설명할 수 없었다.
만약 이 세상이 선형 인과론으로 설명한다면, 원인 속에 변화할 수 없는 절대적인 결과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과학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인과론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선형적 인과율이 원인과 결과의 두 개의 변수를 지닌 문제들에는 타당하지만 여러 변수를 지닌 복잡한 상황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새로운 인과율에 대한 견해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중 주목받는 것이 바로 ‘상호인과율’이다.
원인과 결과가 일방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하며, 원인들끼리도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를 순환적 인과관계(cyclical causality, 호혜적 인과관계(reciprocal causality, 상호적 인과관계(mutual causality 또는 상호결정(interdetermination 등의 용어로 정의한다. 그리고 일반시스템이론이 바로 이 상호인과율을 바탕으로 끊임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