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vii
한국어판 서문 … xiv
역자 서문 … xviii
서론 … 1
1. 문제의 소재 … 1
2. 본서의 개요 … 18
제1부 화엄사상사 연구
제1장 지론종의 『화엄경』 해석 … 29
- 「화엄경양권지귀」를 중심으로
1. 불타삼장, 『화엄경양권지귀』의 의의 … 29
2. 서지(書誌 … 32
3. 『화엄경양권지귀』에서 언급하는 문헌 … 35
4. 사나굴다(?那?多 역, 『십이불명경(十二佛名經』과의 관계 … 41
5. 『화엄경양권지귀』의 구성 … 52
6. 『화엄경양권지귀』의 교판 … 56
7. 돈교·점교와 원통 개념 … 71
8. 인과를 통한 분류 … 80
9. 『대집경』과의 관련 … 101
10. 화엄교학과의 관계 … 107
11. 결론 … 110
제2장 지엄의 화엄교학 … 113
제1절 성기설의 성립 … 113
1. 머리말 … 113
2. 『수현기(?玄記』의 법계연기 … 114
3. 법계연기의 염문(染門 … 116
4. 법계연기의 정문(淨門 … 127
5. 결론 … 152
제2절 부정과 무진 … 155
1. 별교일승의로서의 부정 … 155
2. 성기(性起와 부정(不定 … 166
3. 부정설의 선구 … 169
4. 부정에서 무진으로 … 185
5. 실천과의 관련 … 193
6. 『장자』와의 관계 … 199
7. 결론 … 205
제3절 『일승십현문』의 제문제 … 207
1. 머리말 … 207
2. 종래의 여러 설 … 208
3. 혜광의 영향 … 216
4. 혜명(慧命 『상현부(詳玄賦』와의 유사성 … 230
5. 『일승십현문』의 비판 대상 … 245
6. 결론 … 254
제3장 신라의 화엄사상 … 256
제1절 의상 귀국 이전의 상황 … 256
1. 한국불교의 『화엄경』 수용 … 256
2. 신라의 지론교학 … 260
1 지론교학의 유포 … 260
2 름사(?師를 둘러싼 문제 … 263
3 름사의 교학적 특징 … 270
제2절
동아시아 화엄교학에서
신라불교의 위상을 재정립한 책!
동아시아 불교사상의 지도를 새로 그리다!
이 책의 목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자는 3장(신라의 화엄사상과 5장(신라 화엄사상 전개의 일측면을 할애하여 원효와 의상의 화엄사상에 대하여 폭넓게 서술하고 있다. 책의 약 1/3 분량을 신라의 화엄교학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원효와 의상의 화엄사상에 대하여 이렇게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심도 있게 연구한 일본 불교학자는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이시이 코세이 교수는 동아시아 화엄교학에서 신라 화엄학의 위치와 중요성 등을 새롭게 부각시키고 인식 ? 정립시킨다.
이시이 코세이 교수의 신라불교에 대한 평가는 종래 학자들과는 매우 다르다. 이전은 신라불교를 하나의 조그만 흐름으로 생각했다면, 『화엄사상의 연구』에서는 신라불교를 역동적인 흐름의 중심에 두고 있다.
이 책의 제3장 신라의 화엄사상은 본서 가운데 가장 많은 6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5장 신라 화엄사상 전개의 일측면을 2절로 구성하였다. 제3장 신라 화엄사상을 6절로 전개하여 의상과 원효의 사상 성립 배경과 특색을 다루고, 『화엄경문답』과 『석마하연론』을 신라불교에 편입시킨 학문적 공적을 쌓은 후에 제5장에서 신라 화엄사상의 전개를 통해 『석마하연론』과 『금강삼매경』, 그리고 의상계 사상의 관련을 다룬 것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의 지도를 바꿔 놓은 획기적인 발상이다.
이 책은 제1장에서 지론종에서의 『화엄경』 해석이 나오며 『화엄경양권지귀(華嚴經兩卷旨歸』를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써 지론종과 지엄 이전 화엄 태동기와의 관련을 중시하고 있는데, 이 또한 이 책이 화엄종의 사상을 새롭게 해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2장에서 지엄의 성기설(性起說을 전면에 내세우고 성기설의 일환으로서 부정과 무진을 강조하는 것은 그 이전의 지엄 연구자들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사상 해석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록 곽상(郭尙의 주(注가 중심이긴 하지만, 지엄(智儼과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