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 책 머리에
제1부 1930년대 한국 장편소설 연구
제1장 머리말
제2장 1930년대 장편소설의 시대적 배경
1. 정치?사회적 상황
2. 문단의 동향
3. 신문, 잡지의 역할
제3장 1930년대 전기의 장편소설
1. 소설론의 양상
1 김기진의 통속소설론
2 농민문학론
2. 현실인식과 작품전개 방식
1 통속적 경향소설
2 농민계몽소설, 농민소설
제4장 1930년대 후기의 장편소설
1. 소설론의 양상
1 장편소설의 현상에 대한 논의
2 장편소설의 본질에 대한 논의
3 풍자문학론
4 장편소설개조론
2. 현실인식과 작품전개 방식
1 세태소설: 『천변풍경』
2 풍자소설: 『천하태평춘』
3 가족사?연대기소설
제5장 맺음말
제2부 한국 근대소설의 현실인식
이광수의 초기단편과 1910년대 지식인의 방황
1. 머리말
2. 자아의 각성과 현실인식의 오류
3. 행동목표의 부재와 지식인의 방향
4. 방황의 역사적 성격
5. 맺음말
1920년대 소설에서의 지식인의 고뇌와 작품형식
1. 머리말
2. 약자의식과 고백체 형식
3. 외부세계에의 눈뜸과 여행기 형식
4. 동정자로서의 지식인과 액자 형식
5. 빈자로서의 좌절과 저항
6. 맺음말
「소낙비」와 「감자」의 거리
1. 머리말
2. 「소낙비」의 분석
3. 「감자」의 분석
4. 맺음말
채만식의 문학과 부정의 논리
1. 채만식 이해의 단초(端初
2. 부정의식의 출발
3. 부정적 현실의 사생(寫生
4. 부정논리의 확대와 심화
5. 잠행(潛行하는 부정의식
6. 해방현실의 증언
7. 맺음말
일제강점시대 말기 소설의 현실대응 양상
1. 머리말
2. 국민문학론과 리얼리즘론의 갈등
3. 생존을 위한 갈등: 작가의 고뇌
4. 통속?신변잡사?향락세계로의 도피
5. 대일굴종의 길: 국민문학의 실천
6. 맺음말
해방 직후 소설에 나타난 민족현실의 인식
1. 머리말
2. 정치적?문단적 상황: `독립조선`을 향한 모색과 갈등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