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에 대하여
1993년 11월, 달라이 라마는 프랑스 티벳불교센터연합회의 초청으로 바즈라요기니연구소에서 일주일간 법문을 했다. 당시 유럽 여러 나라에서 수많은 참석자들이 이 법문을 듣기 위해 몰려들었는데 그 내용은 이후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주요 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법문의 주제가 무엇이었길래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듣고 공유하고 널리 알려지게 되었을까? 바로 ‘지혜’이다.
이 책 ≪달라이 라마의 지혜 명상(The Dalai Lama, Practicing Wisdom≫은 당시의 법문 내용을 정리해 담고 있다. 사실 달라이 라마는 이보다 앞선 1991년에 프랑스 도르도뉴에서 개최된 법회에서 이와 관련한 가르침을 편 적이 있다. 지혜를 터득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알려주는 ≪입보리행론(入菩提行論≫에 관한 것이다. ≪입보리행론≫은 7~8세기경의 인도 불교학자 샨띠데바 보살이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산스크리트 원전은 시(詩로 되어 있어 유려하고 아름답기 그지없어 대승불교 문학의 정점에 있는 작품이다. 달라이 라마의 제자이자 ≪달라이 라마의 지혜 명상≫을 영어로 번역한 툽뗀 진빠 스님의 말을 들어보자.
“이 고전적인 인도불교의 문헌이 티벳인들에게 그토록 많은 사랑을 받은 이유는 아마도 게송의 아름다움 때문일 것입니다. 이 문헌의 저자인 샨띠데바는 원력을 품은 보살의 다양한 수행적 요소와 함께 개인적 통찰을 담은 일련의 게송들을 대부분 일인칭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망명 티벳인들이 정착촌을 형성한 남인도의 그 작은 승원에 딸려 있던 옥수수 밭에서 일하던 노동의 시간에도 그 게송들을 암송하며 행복했던 기억이 지금도 여전히 생생합니다. 이 문헌의 티벳어본 게송들은 원래부터 티벳어로 쓰여진 시문학 작품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완벽하게 계량된 시문으로 번역되어 있기 때문에 티벳인들이 암송하고 기억하기가 좋습니다.”
≪입보리행론≫은 모두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991년 법회 때는 시간이 부족해 특히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