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년 네덜란드 덴하흐(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이 세 명의 특사를 파견한 역사적 사건을 모티브로 한 팩션. 시공간이 서로 다른 세 개의 이야기가 교차하면서 전개된다. 1907년 덴하흐. 대한제국 황제의 비밀특사로 덴하흐에 온 세 명의 특사 가운데 한 명이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2007년 서울. 열 살 된 어린아이가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이한 뇌질환에 걸려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두 가지 이야기는 베일에 싸인 인물인 Q신부가 바티칸에 보내는 편지글과 그의 활동에 관한 세 번째 이야기를 통해 연결된다. 100년 전 한일 강제병합의 역사가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이 작품은 묻는다.
1907년 네덜란드 덴하흐, 그곳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나
1905년에 일제는 강압으로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고종은 서울에 있는 각국 공사들을 상대로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국권회복 의지를 전달하며 후원을 요청했으나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이에 고종은 1907년 6월 네덜란드 덴하흐에서 열리는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마지막 기대를 걸고 극비리에 3명의 특사를 파견한다. 평리원 검사를 지낸 이준, 의정부 참찬을 지낸 이상설, 러시아 공사 이범진의 아들로 러시아 주재 한국공사관의 참사관을 지낸 이위종이 바로 그들이다.
그러나 회의에 참석하여 일제의 침략행위를 폭로하고 국권회복의 돌파구를 열겠다는 특사들의 계획은 실현되지 못한다. 사실 만국평화회의는 제국주의 열강들이 식민지 쟁탈전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연 국제회의였다. 따라서 그들로서는 이미 식민지나 다름없다고 판단되는 약소국의 호소가 달가울 리 없었다. 열강들의 냉담한 태도에 실망한 특사들은 대신 만국평화회의를 취재하기 위해 온 세계 각국의 신문기자들에게 눈길을 돌리고, 국제기자클럽에서 ‘한국인을 위한 호소’라는 연설을 하기로 한다.
연설을 맡은 이는 이위종이었다. 그는 외교관인 부친을 따라 어려서부터 해외에 살며 교육을 받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