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5
일러두기·9
제1장 법담학 서설 21
제1절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이란·21
1. 설법과 법담의 개념 21
2. 법담의 신개념 28
3. 법담가의 자질 30
제2절 법담학으로서의 불교·31
1. 불성 실현에의 길 31
2. 본불本佛 발견에의 길 32
3. 절대적 인격 실현에의 길 34
제3절 연기설의 세계관·36
1. 붓다 시대의 세계관 36
2. 연기 40
3. 인연·연기에 관한 비유 42
제4절 업과 인과사상·46
1. 업과 인과 46
2. 초기불교의 인과설 47
3. 업과 연기 49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 51
제1절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51
1. 방편의 의미 51
2. 4무애변과 7변七辯 56
3. 4무애해 60
제2절 사辭와 변辯·63
1. 사(辭: 언어 64
2. 변(辯: 수기개도隨器開導 64
제3절 변방편辨方便으로서의 칠지七知·81
1. 칠지의 의미 81
2. 『불설칠지경佛說七知經』의 칠지七知 83
3. 『집이문족론』의 칠묘법七妙法 86
제4절 칠지 중의 이지二知·89
1. 지중 89
2. 지인근 94
3. 선교방편으로서의 칠지七知 96
제3장 붓다의 인간관 97
제1절 중생으로서의 인간·97
1. 인간의 의미 97
2. 중생(유정의 의미 100
3. 중생의 실존적 비유 104
제2절 붓다의 업설業說과 윤회하는 인간·106
1. 붓다의 업사상 106
2. 붓다의 업설과 윤회와의 관계 111
3. 업사상의 법담학적 의의 116
제3절 아와 무아의 사상·118
1. 아와 무아 118
2. 오온무아설五蘊無我說 122
3. 실아무아설實我無我說 125
제4절 붓다의 심성관·127
1. 심성본정설 127
2. 부파불교의 심성설 131
3. 대승불교의 심성설 133
제5절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135
1. 심청정의 인간상 135
2. 대승보살도에 나타난 인간상 138
3. 불교에 있어서의 인간상의 제상諸相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제1장 법담학 서설에서는 먼저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의 개념을 정리하고, 법담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심리법담을 제시한다. 그리고 절대적 인격 실현의 길로서 법담학으로서의 불교가 지닌 사상적 토대를 불교경전과 교리 내용을 중심으로 추적하고 있다. 여기에는 불교의 기본사상인 업과 인과, 연기사상 등이 포함된다.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에서는 상대방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과 변방편으로서의 7지知를 소개하고, 7지 가운데 법담의 방법으로서 가장 중요하고 또 붓다의 실제적 법담에 있어서 종횡무애하게 적용된 지중知衆과 지인근知人根을 중요시한다.
제3장 붓다의 인간관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윤회하는 중생에게 업과 윤회가 지니는 법담학적 의미를 짚어보고, 아我와 무아無我의 사상, 그리고 붓다의 심성관을 고찰하면서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을 제시한다.
제4장 붓다의 고관苦觀에서는 붓다가 바라본 고의 종류와 그 원인을 살펴보고 고에 대한 철학적 접근으로 사제 중의 고제를 분석한 다음, 고의 해결방안으로서 사제 가운데 팔정도, 나아가 대승불교의 공사상까지 고찰한다.
제5장은 붓다에게서 보는 법담체계의 전형들을 불교경전 가운데서 찾아내서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병에 따라 약을 처방하는 의왕으로서의 붓다와, 붓다의 인격에서 드러나는 사무량심과 대자대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중도와 연기, 불성의 개발을 탐구하면서 붓다의 구제사상과 법담의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제6장은 붓다의 법담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논하고 있는데, 이해능력과 수준에 대응하여 법담을 한다는 뜻인 대기법담과 단계별로 설법하는 차제법담, 훈계하고 이끌어 가르치는 교계법담敎誡法談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붓다의 법담 방법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제7장 불교의 심리적 질병관에서는 경전과 논서에서 나타나는 불교의 질병관을 나열하고 분류하면서 그 대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