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문
들어가며
제1장/ 임진왜란 이후 도검무예의 수용과 추이
1절 임진왜란 이전 도검의 역할
1. 전술체계와 단병무예
2. 근접전 전투방식에서 도검의 역할
2절 임진왜란 중 도검무예의 도입과 수용
1. 단병전술과 도검무예 도입
2. 『무예제보』 편찬과 도검무예 수용
3절 17세기 이후 도검무예 추이와 변화
1. 『무예제보번역속집』의 도검무예
2. 김체건과 왜검의 추이
제2장/ 18세기 도검무예의 정비와 실제
1절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도검무예 정비
1. 『무예도보통지』 24기 구성과 내용
2. 도검무예의 ‘세(勢’
2절 도검무예의 실제
1. 쌍수도
2. 예 도
3. 왜 검
4. 왜검교전
5. 제독검
6. 본국검
7. 쌍 검
8. 월 도
9. 협 도
10. 등 패
제3절 도검무예에 나타난 기법의 특징
제3장/ 18세기 이후 도검무예 보급과 실태
1절 도검무예 관련 시취규정
1. 『대전통편』의 도검무예
2. 『만기요람』의 도검무예
2절 도검무예 관련 군영등록
1. 『어영청중순등록』의 도검무예
2. 『장용영고사』의 도검무예
3절 도검무예의 특성과 의의
마 치 며
참고문헌
미 주
도판목록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조선후기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에 수용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 삼국의 도검무예의 수용, 정비, 보급 과정의 실체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중·일 도검무예의 기법과 무인 선발? 내용을 토대로 실제로 시행한 도검무예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조선후기 도검무예의 도입에서 정착까지 전체적인 그림 안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활용되었던 도검무예의 기법을 파악함으로써 조선후기 무예사에서 이론과 실제가 하나 되는 연구모델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역사학, 군사학, 체육학 분야 등 오늘날 학제간 연구의 학문적 기초...
이 책은 조선후기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에 수용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 삼국의 도검무예의 수용, 정비, 보급 과정의 실체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중·일 도검무예의 기법과 무인 선발 내용을 토대로 실제로 시행한 도검무예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조선후기 도검무예의 도입에서 정착까지 전체적인 그림 안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활용되었던 도검무예의 기법을 파악함으로써 조선후기 무예사에서 이론과 실제가 하나 되는 연구모델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역사학, 군사학, 체육학 분야 등 오늘날 학제간 연구의 학문적 기초 토대 작업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오늘날 조선시대 도검무예를 재현하고 있는 전통무예 단체들에게 올바른 도검무예에 대한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1. 정조 14년(1790년에 간행된 무예도보통지는 군사표준 교범이자 무예서로 다양한 무예기법들이 실려 있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이 교범서의 다양한 무예기법은 현재에도 각기 다른 전통 무예 단체에서 해석하여 서로 다른 무예를 선보이고 있다.
2. 용인대학교에서 검도를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조선후기 도검무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곽낙현 전임연구원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24기 중에서 쌍수도, 예도, 왜검, 제독검, 본국검, 쌍검, 월도, 협도, 등패 등 도검무예 10기를 선별하여 사료에 근거하여 표준화된 기법을 담은 조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