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궁중정재의 복원및 재현을 위한 이론
제1장 궁중정재 무원구성의 변화양상
1. 머리말
2. 문헌에 근거한 정재 무원의 구성현황
3. 정재무원의 수와 구성의 변화양상
4. 맺음말
제2장 조선후기 정재 춤동작의 분포현황
1. 머리말
2. 홀기별 정재 춤동작 분포현황
3. 여령ㆍ무동정재별 정재 춤동작 분포현황
4. 정재별 정재 춤동작 분포현황
5. 춤동작별 정재 분포현황
6. 맺음말
제3장 정재 춤동작의 변화와 계승
1. 머리말
2. 문헌에 근거한 정재 춤동작의 분포양상
3. 정재 춤동작의 시대별 변화양상
4. 정재 춤동작의 변이와 지속
5. 맺음말
제4장 『악학궤범』에 수록된 정재무도의 기록양상
1. 머리말
2. 정재무도의 분포양상
3. 정재무도의 유형
4. 정재무도의 기록양상
5. 맺음말
제5장
<처용무>
춤동작의 문헌 기록양상
1. 머리말
2.
<처용무>
의 기록내용 검토
3.
<처용무>
춤동작의 용어 구분
4.
<처용무>
춤동작 기록 양상
5. 맺음말 : 정재 실행에 따른 춤동작의 이해
제2부 궁중정재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실제
제6장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1
1. 머리말
2. 기존 정재무보의 기록이해
3. 정재대형의 생략내용 탐색
4. 정재대형의 생략내용에 대한 대안과 보충
5. 맺음말
제7장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2
1. 머리말
2. 기존 정재무보의 기록이해
3. 정재이
본서는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와 같은 원전사료를 토대로 복원 및 재현하고자 할 때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1부는 정재의 복원과 재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문헌 연구이고, 2부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실제 궁중정재를 실현하는 복원 연구로서
<몽금척>
·
<장생보연지무>
·
<포구락>
·
<처용무>
·
<사선무>
정재를 예를 들었다. 본서는 기존에 발표한 글들을 모은 것으로서 본서의 성격에 따라 앞으로의 정재복원 및 재현을 위해 준비하였던 연구물을 포함시켰고, 가능한 발표 된 그대로 수록하였지만 문장 전개의 순조로움을 위해 수정 보완하였다. 먼저 제1부의 제1장은 정재변화의 한 요인인 정재무원의 구성과 변화를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를 중심으로 살핀 연구이다. 제2장은 조선후기 정재 춤동작[춤사위]의 분포양상을 『정재무도홀기』를 중심으로 살핀 연구이다. 제3장은 정재 춤동작[춤사위]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를 중심으로 살핀 연구이다. 제4장은 『악학궤범』에 제시된 정재 내용과 정재무도(呈才舞圖의 연관성을 살핀 연구이다. 제5장은
<처용무>
의 재현을 위해 문헌[笏記]을 토대로 수용 가능한 춤동작을 실연관점에 두고 살핀 연구이다. 다음으로 제2부의 제1장은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몽금척>
의 ‘정재대형’을 실현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복원연구이다. 제2장은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포구락>
의 ‘무진무퇴’를 실현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복원연구이다. 제3장은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장생보연지무>
의 ‘오방상대무’를 실현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복원연구이다. 제4장은 정재 창사의 춤사위인 ‘사(詞’ 동작을 실현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복원연구이다. 제5장은 『세종실록악보(世.宗實錄樂譜』에 수록된 봉황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