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_ 12
Part 1 복음의 접촉기
Story 01?천주교와의 접촉 _ 18
1. 근대 이전의 접촉 _ 18
1 동양에 전래된 경교(景敎 _ 18
2 몽고를 통하여 접촉된 천주교 _ 23
3 일본을 통하여 접촉된 천주교 _ 23
2. 천주교의 한반도 전래와 조선 천주교 _ 25
1 병자호란과 소현세자 _ 25
2 조선 학자들의 천주교 접촉 _ 26
3 조선 천주교회 설립 _ 28
4 천주교의 수난 _ 31
Story 02?개신교 선교의 여명 _ 39
1. 개신교와의 접촉 _ 39
1 벨테브레와 하멜의 조선 표류 _ 40
2 맥스웰과 바실 홀 _ 41
3 칼 귀츨라프 _ 44
4 로버트 토마스 _ 46
5 알렉산더 윌리엄슨 _ 49
2. 선교 이전의 성경번역과 선교 _ 51
1 만주에서의 성경번역 _ 51
2 일본에서의 성경번역 _ 55
3. 개신교 조선선교의 특징 _ 58
Part 2 복음의 수용기
Story 03?개신교의 조선선교 _ 62
1. 19세기 개신교의 동아시아 선교 _ 62
1 중국 _ 63
2 일본 _ 63
2. 조선의 쇄국정책과 문호개방 _ 65
1 쇄국정책 _ 65
2 문호개방과 개신교 선교 _ 66
3. 개신교 선교의 시작 _ 68
1 조선의 문호개방과 개신교 선교 _ 68
2 초기 선교사들 _ 70
4. 조선선교와 개신교 수용과 그 특징 _ 79
Story 04?개신교 선교 추진과 수난 _ 84
1. 선교 추진의 활성화 요인 _ 84
2. 선교의 확장 _ 85
1 성공회의 선교 _ 86
2 미국남장로회의 선교 _ 87
3 호주장로회의 선교 _ 87
4 캐나다장로회의 선교 _ 88
5 미국남감리회의 선교 _ 89
6 침례교회의 선교 _ 89
7 성결교회의 선교 _ 90
8 구세군의 선교 _ 91
9 안식교의 선교 _ 92
3. 개신교의 수난 _ 92
1 수난의 배경 _ 92
2 수난 _ 93
3 수난의 결과 _
역사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객관적 의미의 역사이고, 다른 하나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이다. 개관적 의미의 역사를 추구한 랑케(L. Ranke는 “역사가는 자신을 숨기고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고 말하며 철저히 주관을 배제한다. 그리고 “역사는 실제 본래…보여준다”고 하며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라는 그의 말들에서 의도를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와는 다르게 주관적 의미의 역사를 추구하는 콜링우드(R.G. Collingwood는 “역사는 죽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 속에 살아있는 과거이다”라며 마음속에서 과거의 재현을 희구한다. 이와 동일한 의식을 가진 역사가 카(E.H. Carr는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부단한 상호작용의 과정이며…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역사를 규정한다. 카는 캠브리지 강연에서 강의한 것을 엮은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에서 “인류생활의 과거에 일어난 수많은 사실 모두가 역사는 아니다”라고 했다.
이 양분된 개념들에서 우리가 구별할 수 있는 점이라면 랑케는 사료(史料에 특별한 의미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카는 역사가에 특별한 의미로 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면 역사란 역사적 진실이 확인될 때 비로소 과거의 한 사건이 역사로서의 자격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는 이중의 의미(double entendre가 있다. 즉, 그 역사 자체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그 역사를 통해서 얻게 되는 의미도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가 개혁을 말할 때 언제나 비판의 기초 위에서 시작한다. 비판이란 잘잘못을 가려 정당한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력을 기르는 데에 가장 적합한 학문이 역사라고 믿는다. 따라서 우리의 미래에 긍정적 발전을 가로막고 해치는 악행들 가운데 으뜸은 역사왜곡이다. 그 다음이 역사관에 대한 무관심이다.
한국기독교 역사에 대해 사관을 가지고 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두 사람을 예를 들어 비교하면, 송건호는 한국 기독교의 시기를 5가지로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