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편 1712년 백두산정계 연구
백두산정계비 위치 재탐구
머리말
1. <북정록>.<백두산기>를 통해본 정계비 위치
2. <백산도>.<통문관지>를 통해본 정계비 위치
3. <동문휘고>에 기록된 정계비 동쪽의 퇴책(堆柵
4. 소백산 지리형세 분석
5. 맺는말
목극등 입비의 성격
1. 한중 양국 학자들의 서로 다른 주장
2. 목극등의 국경조사 및 조선 접반사의 사명
3. 조선에서 땅을 얻었다는 범위
4. 정계의 의의와 영향
5. 맺는말
백두산정계와 두만강 수원
머리말
1. 두만강 수원을 잇는 퇴책의 방향
2. 두만강 발원지와 설책한 물줄기
3. 조선 고지도에 나타난 두만강 수원과 퇴책
4. 백두산정계의 결정 요소 및 정계의 영향
5. 맺는말
제2편 한중국경사의 의문점과 난점에 대한 탐구
조청 국경의 역사적 유적-흑석구의 토석퇴
머리말
1. 백두산정계의 1차 사료를 통해본 흑석구
2. 1885.1887년 공동감계와 흑석구
3. 흑석구와 동남안의 토석퇴 길이
4. 맺는말
두만강 정원(正源의 형성 요소
머리말
1. 목극등이 정한 두만강 수원
2. 1885.1887년 공동감계와 두만강 수원
3. 지리학적 요소로 본 두만강 수원
4. 맺는말
1885.1887년 공동감계에 대한 재평가
머리말
1. 제1차 감계와 총서(總署의 주문(奏文
2. 제2차 감계와 총서의 주문
3. ‘십자비(十字碑’ 수립을 둘러싼 양측의 교섭
4. 감계 담판이 실패한 원인 분석
5. 맺는말
두만강변 ‘십자비’ 설립 여부에 대한 고증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