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옛 그림으로 본 서울 : 서울을 그린 거의 모든 그림
저자 최열
출판사 혜화1117
출판일 2020-04-05
정가 37,000원
ISBN 9791196363277
수량
책을 펴내며 | 한양의 기억은 서울의 미래다

서장 “서울, 햇볕 드는 큰 땅에 우리의 문명을 여노라”

01 도봉에서 삼각산을 거쳐 백악에 이르다

나라를 세우고 개혁을 꿈꾸던 이들의 영토, 도봉
태조 이성계, 천년왕국을 꿈꾸다 | 젊은 조광조가 사랑한 땅, 그곳에 들어선 도봉서원

삼각산, 이 아름다운 산세를 어디에서 만나랴
“이곳은 참으로 특별하여 그림에 담을 수 없구나”| 선비의 눈길을 황홀경으로 이끌다

“백악이야말로 산과 물의 형세가 옛글에 부합하다”
한양의 소문난 명승지, 산은 작으나 매우 깊은 땅 | 이 산을 그린 조선의 화가, 다섯

“이곳은 하늘 아래 으뜸 가는 복 받은 땅”
남경, 한양, 그리고 서울로 이어지는 통치의 심장 | 대은암, 풍광을 빗대 권력자를 비웃다 | 계곡 따라 들어선 누정의 아취, 권세의 흔적 | 겸재의 그림으로 떠올리는 경복궁과 숭례문 옛 풍경 | 문예사족의 집결지, 삼청동 풍류는 모두 다 어디로

02 세검정에서 나오니 창의문에 곧 닿더라

냇가와 바위가 어울려 참으로 좋구나
칼과 붓을 씻은 땅, 세검정 | 총융청에서 비롯한 신영동의 유래 | 탕춘대에서 오간수문까지, 홍지문의 안과 밖 | 석파정, 말없이 일러주는 권력의 무상함

창의문, 이 일대의 아름다움은 도성의 제일
창의문, 더욱 드러나 밝게 빛나리 | 동네 이름, 여전하거나 바뀌었거나사라졌거나

03 청풍계의 벗, 인왕산 그림, 필운대 꽃놀이

이백오십 년 권력의 산실, 문예의 꽃을 피우다
장동김문 세거지에서 이룩한 문예창신 | 이곳에 깃든 겸재 정선의 자취

인왕산 기슭에 꽃이 피면 모두 모여 꽃놀이
〈인왕제색도〉에는 구름 깔리고, 〈인왕산도〉에는 봄바람 부네 | 수성궁에는 물소리 흐르고, 송석원에는 시가 흐르네 | 송석원, 예술인의 아름다운 규율 | 필운대에 퍼지는 화가와 시인의 꽃노래

04 서대문을 지나면 서소문이 우뚝하고 광화문이 머지않네

한양의 서쪽 땅
도봉에서 삼각, 백악을 거쳐 한강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모두 8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한눈에 살피는 서울의 곳곳!
이로써 거듭난 수도 서울의 총합된 이미지
오늘날의 서울은 확장된 개념으로, 19세기까지 한양은 사대문 안을 중심으로 이른바 도성으로 불리는 곳이었다. 이 책에서 대상으로 삼는 ‘서울’ 역시 오늘의 서울 이전, 한양으로 불리던 바로 그 시절 그곳이다. 『옛 그림으로 본 서울』은 모두 8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도봉산에서 비롯하여 삼각산, 백악산을 거쳐 서소문을 경유하고 한강의 광나루에서 행주산성까지를 통째로 살핌으로써 옛 서울 한양을 향한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통찰을 유도한다.
‘서장’에서 18세기 한양을 그린 <도성도>를 비롯한 그림 지도와 19세기 신감각파의 중심 작가 김수철의 <한양 전경도> 등 서울 전체를 일별하는 압도적인 그림들을 책 앞머리에 내세움으로써 이 책과의 첫 만남을 주선한 저자는 이로써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파편처럼 흩어져 있던 서울을 좀 더 높은 곳에서 조감하게 한다. 이후 총 8장으로 구성한 체제를 통해 저 멀리 도봉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삼각산을 거쳐 백악에 이르기까지 그림을 통해 서울 전체를 관통하는 큰 축을 제시함과 동시에 예술의 정수가 모일 수밖에 없는 궁궐 주변을 중심으로 오늘날 달라진 모습을 상대적으로 쉽게 살필 수 있는 풍경을 펼쳐 보인다. 나아가 사대문 너머 서대문, 용산, 동대문 너머 인근의 정취를 아우른 뒤 광나루에서 행주산성까지 한강을 주유함으로 이 책의 대장정을 마무리한다. 이로써 서울은 단편적인 장소의 집합체가 아닌, 육백여 년 동안 한 국가의 수도로서의 총합된 이미지로 독자에게 거듭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 저자는 그림 지도, 기록화, 산수화 등 조선 시대 그려진 다양한 그림들을 전방위로 배치하였는데, 이러한 그림 속 풍경들은 그 자체로 서울이라는 도시의 근원, 풍경과 일상, 역사의 기록과 개인의 추억의 경계를 넘나들며 넘나들며 자유로운 줌인, 줌아웃을 경험하게 한다. 조선 시대 화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