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5
제1부 『순수이성비판』 해제
[I. 칸트의 철학 과제]17
[II. 『순수이성비판』의 체제]22
[III. ‘순수 이성 비판’과 그 결실]26
[IV. 칸트 초월철학의 체계]35
1. 초월적 감성학35
1 순?수 직관으로서의 공간·시간36
2 공간·시간 표상의 주관성38
3 주관적 표상인 공간·시간의 경험적 직관 형식으로서의 객관적 실재성39
(1 감성의 일람(一覽작용과 그 형식39
(2 공간·시간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40
(3 현상의 ‘형식’과 ‘질료’로부터 얻는 결론44
2. 초월적 논리학45
1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46
(1 순수 지성개념들의 형이상학적 연역46
(2 순수 지성개념들의 초월적 연역50
2 순수 지성의 종합적 원칙들55
(1 양(量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56
(2 질(質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59
(3 관계(關係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61
① 제1유추의 원칙―실체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63
② 제2유추의 원칙―인과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64
③ 제3유추의 원칙―상호작용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66
(4 양태(樣態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67
[V. 이성적 형이상학 비판 : 초월적 변증학]71
1. 초월적 가상의 체계들71
2.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 비판73
3.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해명76
1 첫째 이율배반77
2 둘째 이율배반77
3 셋째 이율배반78
4 넷째 이율배반79
4. 순수 이성의 이상 해명82
1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함83
2 신의 현존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함84
3 신의 현존에 대한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함85
[VI. 순수 이성의 완벽한 체계를 위한 조건들에 대한 마무리 반성 : 초월적 방법론]87
1. 순수 이성의 훈육88
2. 순수 이성의 규준89
3. 순수 이성의 건축술93
4. 순수 이성의 역사94
[VII. 『순수이성비판』 저술사]97
『순수이성비판』 관련
이성의 자기비판: 선험적 종합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
“선험적 종합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 물음의 답변이 철학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극복책을 마련해 준다고 칸트는 보았다. 그가 선험적 종합판단이라 했던 것은 수학과 자연과학(뉴턴 역학의 명제들이다. 여기서 그가 문제삼은 것은 그 보편성과 필연성의 구조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이성에 대한 비판 작업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성은 인간의 지적 능력의 총칭이다. 그러한 지적 능력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를 해부하는 작업이 바로 이성비판이다. 그런데 그 해부 작업을 하는 주체도 인간의 이성이기에 이 비판은 이성이 자기 자신에 대한 가하는 자기 비판이다. 『순수이성비판』은 이러한 구조를 밝히려고 수행되는 이성의 자기 해부 작업이다. 그는 인간의 지식은 경험과 더불어 시작한다고 전제하고 경험의 가능근거, 즉 경험이 가능하게 되는 조건들이 무엇인가를 해명하려고 한다. 『순수이성비판』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감성론은 경험을 가능케 하는 감성적 조건을 밝히며, 분석론은 경험을 가능케 하는 오성적 조건들이 무엇인가를 해명하고 있다. 그리고 변증론은 이성의 부당한 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오류를 폭로하고 있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자연의 입법자로서의 인간
『순수이성비판』에서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향에 비유되는 사고방식의 혁명이다. 그는 우리 인간의 인식이 ‘사물 자체로서의 대상’에 준거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물 자체가 우리에게 주어지는 현상으로서의 대상’이 우리의 선험적 인식에 준거할 것을 강조한다. 칸트의 사고방식의 혁명은 인간중심주의의 포기가 아니라 오히려 중세의 기독교적 세계로부터 벗어나 유한한 인간의 이성을 통해 인간의 눈으로 본 세계를 그려내고자 하는 사고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칸트적 인간에서 주목할 것은 이성의 한계 내에서 유한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위대함이다. 인간은 한편으로는 감성적 존재자이므로 비록 자연의 내용은 제약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