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사찰 순례를 시작하며
1. 사찰(절에 가면
2. 사찰의 유래
3. 가람의 종류
4. 가람 배치
2장. 절로 가는 길
1. 문 없는 문, 일주문
2. 숲길 따라 계곡을 건너 피안의 세계로
3. 무지개다리를 건너서 부처의 나라로
4. 절 앞의 장승, 절 경계 표시 당간과 당간지주
3장.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
1.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곳, 금강문과 금강역사
2. 불법 수호의 장, 천왕문과 사천왕상
3. 승과 속이 둘이 아닌 마지막 관문, 불이문
4장. 부처 나라로의 진입
1. 누각에서 부처님을 바라보며
2. 범종각
3. 중생 구제와 깨우침의 소리
5장. 법당 밖을 장식하는 요소들
1. 법당 앞마당(중정
2. 법당으로 오르는 계단과 소맷돌
3. 축대, 기단
4. 법당의 꽃창살문
5. 기둥
6장. 사찰의 중심자리 절집
1. 부처님이 계신 곳
2. 보살이 계신 곳
3. 부처의 제자, 수호신을 모신 곳
7장. 법당 안은 어떻게 꾸미나
1. 법당 안 살펴보기
2. 부처를 모신 불단
3. 닫집
8장. 불상
1. 불상의 기원
2. 불상의 형식
3. 불상의 재료
4. 보살상
5. 불상의 배치
9장. 부처의 무덤, 탑
1. 탑의 기원과 전래
2. 재료에 따른 한국 탑의 종류
3. 탑과 금당의 배치
4. 석탑의 구조 및 용어
5. 탑의 장엄
6. 시대별 한국의 석탑
10장. 승려의 무덤, 승탑
1. 승탑의 기원
2. 승탑의 양식
3. 시대별 대표적인 승탑
11장. 진리의 빛, 석등
1. 석등의 상징성, 한국 석등의 기원
2. 석등의 양식
3. 시대별 대표적인 석등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무엇이 있고,
우리나라 전통 사찰의 건축적 특징은 무엇이며,
불상과 탑, 그리고 불전 사물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일까?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거쳐 떠나는 진정한 사찰 순례의 길잡이
절에는 천 년이 넘게 이어져 온 우리의 전통 건축이 있고, 조각이 있고, 회화가 있으며, 이들이 바위, 나무, 풀, 흙과 어우러져 오케스트라를 연주한다. 절을 자주 찾는 불자라 해도 그저 대웅전에 들러 절하고 독경하고, 절을 한 바퀴 둘러보는 것이 전부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절에는 불법을 상징하는 많은 장치들이 있고, 이 중에는 국보는 물론이고 보물급 문화재들도 상당하다. 또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화된 모습이 있고, 이를 만든 이들의 염원과 기도가 절절하게 서려 있다. 그뿐이 아니다. 중생들의 삶이 녹아 있고, 이에 따른 전설과 설화가 깃들어 있다.
저자는 우리가 절에서 만나게 되는 ‘일주문, 당간, 금강문, 불이문, 누각, 소맷돌, 꽃창살문, 대웅전, 극락전, 불단, 닫집, 불상, 탑, 석등’에 담겨 있는 조형 의도와 상징적 의미를 찬찬히 소개하며, 사찰을 이루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차이와 의미를 살피고 헤아려 볼 것을 권한다. 예를 들어, 불전마다 모셔 놓은 불상들이 왜 다른지를 알게 되면 사찰 순례의 깊이가 그만큼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통 사찰 입구에서부터 순서대로 만나게 되는 것들을, 특히 문화재를 중심으로 대표 사례와 함께 소개하여 이 책을 보면 우리나라 전통 사찰을 자연스럽게 순례한 느낌이 든다.
1장 ‘사찰 순례를 시작하며’에서는 사찰에 가는 이유, 사찰의 유래, 종류, 배치를 다루었고, 2장 ‘절로 가는 길’에서는 일주문에서 시작해서 절 입구에 있는 것들을 살펴보았다. 3장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에서는 금강문과 금강역사, 천왕문과 사천왕상의 상징적 의미를 설명하고 불이문이 갖는 종교적 의미를 짚었다. 4장 ‘부처의 세계로 진입’에서는 불전으로 들어가는 누각과 그 옆에 위치한 범종각과 불전 사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