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영국의 장원제에 대한 마르크 블로크의 비교사적 연구 |
이기영15
서론
1. 현대 프랑스 농촌과 영국 농촌의 대조적 모습37
2. 프랑스의 장원과 영국의 장원44
3. 연구방법50
제1부 초기의 고전장원제: 카롤링왕조 시대의 프랑스 장원과
노르만왕조 시대의 영국 장원
제1장 카롤링왕조 시대의 고전장원5
1. 사료55
2. 영주직영지59
3. 농민보유지76
4. 신분84
제2장 11세기 영국의 장원3
1. 영국 농촌사의 기본적 특성93
2. 『둠즈데이북』과 ‘장원’이라는 말106
3. 신분113
4. 장원제의 강제적 실시120
제2부 11-13세기의 장원제: 장원농민의 법적 신분과
장원 경제구조의 변동
제1장 법률의 변천과 장원농민의 신분변동: 프랑스를
중심으로25
1. 9-12세기 프랑스의 법률변천126
2. 장원농민의 신분변동과 농노 신분의 형성130
제2장 재판권과 장원농민41
1. 프랑스의 재판권 변화추이와 장원농민143
2. 영국의 재판권 변화추이와 장원농민152
제3장 장원 경제구조의 변동57
1. 부역과 공납의 변화158
2. 영주직영지의 축소163
제3부 14세기 이후 경제상황의 변화와 장원제의 귀결
제1장 중세 말과 근대 초 경제상황의 변화와 장원제 73
1. 14-15세기의 위기와 장원조직173
2. 화폐가치의 변동과 영주의 소작료 수입179
3. 가격혁명과 영주의 소작료 수입188
제2장 영국 장원제의 귀결93
1. 영주직영지의 상당한 잔존193
2. 농민적 토지소유의 쇠퇴205
3. 정치적·사회적 세력관계의 변화209
4. 인클로저와 장원제의 해체212
인클로저: 총론212
인클로저의 역사와 장원제217
인클로저의 결과와 장원제227
5. 종합적 결론: 장원제가 영국의 역사에 미친 영향237
제3장 프랑스 장원제의 귀결39
1. 영주 계급의 변화240
비교사적 연구를 통한 영국과 프랑스의 비교
마르크 블로크는 20세기 초 영국과 프랑스의 농촌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경제적 구조의 차이가 어떻게 생겨났을까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외관상 영불해협의 프랑스 쪽 땅은 울타리가 없이 탁 트인 개방경지제와 집촌(集村을 특징으로 하는 풍경이 펼쳐지는 데 비해, 영국 쪽은 울타리로 둘러쳐진 경지제도와 외딴집(散村으로 된 풍경이 전개된다.”(29쪽 또한, “농촌사회의 구조에서도 영국은 프랑스에 비해 농업인구의 비중이 훨씬 낮고, 토지 가운데 곡물경작지가 훨씬 적은 대신 목초지의 비중이 높아 곡물의 자급률이 매우 낮으며, 대토지 소유제가 지배적이다.
이에 반해 프랑스는 농업인구의 비중이 훨씬 높고, “곡물경작지의 비중과 곡물의 자급률이 매우 높으며, 대토지 소유가 존재하지만 중소 규모의 농민적 토지소유와 병존한다.”(29쪽 블로크는 이렇게 차이가 생기는 이유가 ‘자연발생적’이지 않으며 두 국가의 ‘장원제’를 비교하면서 그 이유를 밝히겠다고 선언한다.
이처럼 이 책에서 단연 돋보이는 연구방법은 비교사적 방법이다. 현대 영국과 프랑스 농촌사회가 지니는 차이의 원인을 시종일관 양국의 장원제 역사를 비교해 고찰함으로써 규명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완전한 형태의 장원은 두 부분의 토지로 구성된다. 한 부분은 땅의 소유주이자 지배자인 영주가 여러 가지 노동력을 이용해 직접 경영하고 그 수확물을 차지하는 영주직영지다. 다른 한 부분은 소규모의 농장들로 구성되며 그 보유자는 영주에게 각종 부역노동과 공납을 이행할 의무를 지는 농민보유지다.
장원제는 본질적으로 경제적 차원의 제도다. 하지만 장원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장원제가 중세에 사회구조를 구성하는 기본요소 가운데 하나이기도 했다는 것, 즉 가족, 봉신(封臣 집단, 도시공동체처럼 사회생활을 하기 위한 기본단위 조직 가운데 하나였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장원제는 이런 경제적 차원의 이익 도모와 지배권과의 결합이며, 강한 지배권과 경제적으로 착취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