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장·수행평가란 무엇인가
가. 수행평가의 도입배경
나. 수행평가의 개념 및 특징
다. 수행평가 문항제작 절차
라. 수행평가와 과정중심평가
마. 수행평가 시 유의점
2장·수행평가방법
가. 수행평가 기록 방법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법
-일화기록법
나. 평가자에 따른 방법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다. 평가 장면에 따른 방법
-논술
-구술
-토의
-토론
-실기
-보고서법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3장·수행평가 문항 제작하기
가. 수행평가의 구성
나. 평가기준
4장·수행평가 문항 사례
가. 국어
나. 사회/도덕
다. 수학
라. 과학/실과
마. 예술
5장·수행평가를 위한 제언
가. 평가 신뢰도 확보 방안
나. 학급평가계획의 중요성
다. NEIS의 변화 필요성
마치며
수행평가 20년, 수행평가는 여전히 유효한가
-줄 세우기 대신 배움과 성장을 촉진하는 도구로서의 수행평가를 제언하다-
평가의 함정, 공정성과 객관성의 덫
평가라는 말은 모두에게 익숙하다. 어린 시절 초등학교부터 시작해 중고등학교를 거쳐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평가받으며 자란다. 그리고 이 익숙한 평가라는 말은 자연스레 성적표를 연상시킨다. 우리가 받은 평가란 학생들을 줄 세워 누가 얼마만큼 더 뛰어난지를 가리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 때문에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정성과 객관성이었다. 모든 학생을 일률적인 잣대로 줄 세워야 하기 때문에 누구나 납득할만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지, 평가자의 주관이 평가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을 수 있는지가 평가의 핵심적인 기준이었다. 그런데, 이런 평가가 오늘날의 교육에 적합한 방식일까.
이 질문을 마주하여 <수행평가란 무엇인가>의 두 저자는 ‘NO’라고 단언한다. 공정성과 객관성은 평가의 본질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평가란 전문가의 관점에서 피평가자의 현재 수준을 진단하고 혹여 배움에 모자란 부분이 있지는 않은지,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이를 도와줘야할지를 가늠하는 수단이어야 한다고,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가장 적합한 평가 방식이 바로 ‘수행평가’라고 이야기한다.
타당성과 신뢰성을 중시하는 평가, 수행평가
일률적인 줄 세우기가 아닌 수행평가의 기준은 공정성과 객관성과 맞지 않다. 저자들은 수행평가의 기준은 타당성과 신뢰성이라 말한다. 타당성이란 교사가 ‘가르친’ 것을 평가했느냐의 개념이다. 직접 성취기준에 따라 가르치고 강조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신뢰성은 반복해서 평가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느냐의 개념이다. 얼핏 보면 객관성과 비슷해 보이지만 교육전문가로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숨어있다.
수행평가가 시행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그 취지에 따라 운용되기 어려웠던 이유는 바로 이러한 점들 때문이다. 우리 교육이 기존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