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학생운동을 보는 시각과 방법
1. 학생운동이란
2. 세계사의 맥락에서 본 한국 학생운동
3. 서술 방향과 책의 구성
제1장태동: 초창기
1. 서울대의 개교와 ‘국대안 파동’
2. 초창기의 학생사회
3. 학생운동의 태동
제2장분출: 1960년대
1. 4·19혁명
2. 학생활동의 활성화
3. 학생운동의 분출
4. 5·16군사정변과 서울대
5. 1960년대의 학생사회
6. 한일협정에 반대하다
7. 장기집권 음모에 맞서다
제3장대결: 1970년대
1. 학원을 지키기 위해 일어서다
2. 학생활동을 억압하다
3. 유신체제의 구축과 민청학련 사건
4. 노동자의 곁으로 달려가다
5. 관악캠퍼스 시대의 개막
6. 꽁꽁 얼어붙은 관악캠퍼스
7. 지구전을 준비하다
8. 긴급조치 9호에 온몸으로 맞서다
9. 사상적인 금기에 도전하다
제4장혁명: 1980년대
1. 서울의 봄
2. 다시 얼어붙은 대학가
3. 졸업정원제 세대의 등장
4. 되살아난 학생운동
5. 재개된 학생시위
6. ‘학원자율화조치’와 학생회 재건
7. 혁명을 꿈꾸다
8. 노동운동의 현장에 뛰어들다
9. 1987년 6월항쟁
10. 학생회의 시대가 열리다
11. 6월항쟁 이후의 학생운동
제5장대안: 1990년대
1. 서울대에 ‘신세대’가 나타나다
2. 전투적 학생운동의 종언
3. 학생정치조직의 등장
4. 변화를 모색한 학생회
5. 대안으로 떠오른 부문계열운동
제6장갈등과 균형: 21세기
1. 21세기의 서울대와 서울대생
2.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학생회
3. 과거의 흔적을 간직한 교육투쟁
4. 정치적·사회적 이슈에 어떻게 대응했나?
5. 민주화의 길
참고문헌
색인
“학생들은 단순히 학원자율화, 대학개혁, 학생들의 권익보장 차원을 넘어서서 애초부터 민족통일, 정치적 민주화, 사회개혁을 분명한 목표로 삼았다. 그래서 서울대의 학생운동사 역시 청년문화운동사와 대학개혁운동사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나, 한국 정치사와 사회운동사의 가장 중요한 사건들과 언제나 맞닿아 있다. …… 학생운동이 없었다면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한국의 정치, 사회, 학문, 문화예술, 노동, 과학, 의료 각 영역에서 새로운 자극과 실험, 그리고 혁신과 도전적 문제 제기를 해온 인물이 양성되었을지 의심스럽다.” _김동춘 교수의 추천사 중에서
해방 직후부터 촛불항쟁까지
대학의 안과 밖을 넘나들며
70년의 긴 호흡으로 정리한 학생운동사
“개교 70주년이 되도록 현대사의 고비마다 큰 희생과 함께 중대한 역할을 담당한 자기 학교의 학생운동조차 정리하지 못했다는 부끄러움에 이 작업을 시작했다”
학생운동은 이승만 독재를 무너뜨린 4·19혁명, 박정희 유신독재를 무너뜨린 부마항쟁, 전두환 신군부의 독재에 저항하고 결국 이를 무너뜨린 5·18민주화운동과 6월항쟁이 웅변하듯 정치민주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 후 문민정부가 시작되며 학생운동의 성격도 변화했다. ‘민주화운동’을 넘어 ‘운동의 민주화’로 진화한 것이다.
저자들은 해방 직후 서울대 개교를 놓고 벌어진 국대안 반대운동에서 출발해 국정농단으로 촉발된 촛불항쟁까지 70년 이상의 학생운동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각 시기를 상징하는 ‘태동’, ‘분출’, ‘대결’, ‘혁명’, ‘대안’, ‘갈등과 균형’이라는 키워드를 장 제목 삼아 학생운동 전체를 아우른 통사를 완성해 냈다.
정치민주화와 대학민주화에 초점을 맞춰, 시대별 추이와 분야별 활동을 역사 연구의 원칙인 실사구시에 근거해 생생히 재현해 낸 이 책이 학생운동을 보는 시각과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운동을 보는 시각과 방법
첫째, 학생운동이 정치운동이라는 전통적인 학생운동관에서 벗어나 더 넓고 입체적인 시각에서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