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프롤로그 : 일본의 독도 침탈 전략
제2부 독도 영유권의 역사적 맥락
1. 512년~1415년 : 신라의 우산국 복속 후 고려 및 조선왕조로 계승
2. 1416년~1881년 : 조선왕조의 울릉도와 속도 독도의 공도정?책
3. 1882년~1904년 : 울릉도 개척령, 독도 영유권 칙령 공포
4. 1905년~1945년 : 독도 일본 영토 편입, 한반도 일본 식민지화
5. 1945년~1953년 : 한국 영토 및 주권 회복 확인
6. 1953년~1956년 : 의용수비대의 일본 침공 저지격퇴 및 물리적 실효지배 강화
7. 1956년~1999년 : 독도에 경찰 배치, 한일 간 독도 문제 조정 방식 해결 합의
8. 1999년~2011년 : 신한일어업협정 체결로 독도의 배타적 영해권 상실
9. 2012년~현재 :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 발현 및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강요
제3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궤변 반박
1. 일본의 독도 존재 인식
2. 한국의 독도 인식 근거
3. 일본의 17세기 중엽 독도 영유권 확립 주장
4. 일본의 17세기 말 울릉도 도해금지령
5. 안용복 진술의 신빙성
6. 1905년의 시마네현 독도 편입
7. 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조약
8. 독도의 미국 공군 폭격연습장 지정 중지
9. 일본의 한국 독도 불법 점거 주장
10. 일본의 독도 문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제안
제4부 독도 방어를 위한 국가 정책ㆍ전략 대안
1. 독도의 존재가치 재인식
2. 실효지배의 획기적인 대폭 강화
3. 문화ㆍ교육ㆍ홍보ㆍ외교 활동 극대화
4. 독도 고수방어 태세 확립
제5부 에필로그 : 당면과제
1. 독도가 고유 영토란 확신 견지
2. 독도를 일본에 빼앗기지 않기 위한 현책 실현
부록
1. 한일 간 독도해전 가상 시나리오
2. 독도연구기관 콜로키움 주소록
출판사 서평
- 왜, 어떻게, 누가 이 섬을 지킬 것인가 -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한반도 핵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자민당 재집권과 더불어 독도 침탈 기운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통령의 책무는 헌법의 준수, 자유민주 체제의 유지 발전, 국가안전 보장, 영토 수호 등으로 집약될 수 있는데, 국가영역과 국민 그리고 국가 주권을 적의 침공이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라고 하겠다. 제2차대전의 유산이며 한민족의 자존심이 걸린 우리 고유 영토 독도는 신라 시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
- 왜, 어떻게, 누가 이 섬을 지킬 것인가 -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한반도 핵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자민당 재집권과 더불어 독도 침탈 기운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통령의 책무는 헌법의 준수, 자유민주 체제의 유지 발전, 국가안전 보장, 영토 수호 등으로 집약될 수 있는데, 국가영역과 국민 그리고 국가 주권을 적의 침공이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라고 하겠다. 제2차대전의 유산이며 한민족의 자존심이 걸린 우리 고유 영토 독도는 신라 시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영유권이 이어져 오고 있으나, 조선왕조 시대의 공도(空島정책과 러일전쟁 직후의 일본 영토 강제 편입에 이은 한반도 식민통치, 광복 후의 연합국의 대일강화조약 등으로 말미암아 영유권이 부분적으로 또는 단기적으로 상실되거나 침해당하기도 하였다. 특히 최근 좌파 정권하에서 일본과 체결된 불평등한 신한일어업협정으로 말미암아 독도의 울릉도 속도(屬島 개념 상실과 함께 주변 영해 및 접속수역의 배타적 주권행사가 제한당하고 영유권에 치명적인 손상이 초래됨을 기화로 일본의 독도 침탈 기운이 가일층 거세어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일본은 독도를 국제분쟁지역으로 기정사실로 한 여세를 몰아 강력한 해군력과 외교력을 배경으로 독도의 물리적 탈취에 이어 유엔 안보이사회의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