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제1장 양세의병장의 가계와 삶 ………13
1. 충절가문의 전통을 잇다 ● 15
2. 동엄공이 태의원 전의로 관직생활을 시작하다 ● 23
3. 단오공이 검계서당에서 학문을 깨치다 ● 49
제2장 정용기 의병장의 항쟁 ………59
1. 친명을 받들고 의진을 일으키다 ● 61
2. 대구경무서에 구금되다 ● 83
3. 영천군 국채보상운동을 이끌다 ● 96
4. 의진을 다시 일으키다 ● 103
5. 입암전투에서 전사하다 ● 129
제3장 정환직 의병장의 항쟁 ………143
1. 아들을 대신하여 의진을 이끌다 ● 145
2. 북상길을 트려고 혼신의 힘을 다하다 ● 154
3. 청하 고천에서 잡혀 영천에서 순국하다 ● 173
4. 장령들의 활동이 계속 이어지다 ● 190
제4장 최세윤의 양세의병장 유지 계승 ………197
1. 안동의진 아장으로 출발하다 ● 199
2. 정환직 의병장의 유지를 계승하다 ● 201
3. 장기에서 잡힌 뒤 서대문 옥중에서 순국하다 ● 212
맺음말 ● 215
양세의병장 연보 ● 220
참고문헌 ● 228
찾아보기 ● 230
“몸은 죽어도 마음은 변치 않으리
의리가 무거우니 죽음은 오히려 가볍구나”
-정환직, 〈임종시〉 에서
나라에 목숨을 바친 부자를 돌아보다
약 30여 년 전부터 산남의진과 양세의병장에 대해 연구해 온 권영배 교수가 의병장 정환직·정용기 부자에 대한 최초의 평전을 펴냈다. 지금까지 이들만을 총체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아버지와 아들 2대에 걸친 의병장임을 일컫는 ‘양세(兩世의병장’이라는 호칭조차 일반 대중에게는 낯설게 다가오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창의(倡義가 고종의 밀지(密旨를 받아 이루어졌으며, 이들이 이끌었던 산남의진(山南義陣이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의병부대였다는 점에서 그 활약상을 조명하는 일은 의병사 연구에서 필수일 것이다. 이에 지은이는 사료로써 정환직·정용기뿐만 아니라 정 부자 사후 산남의진을 이끈 정환직의 후계자 최세윤의 삶과 투쟁을 생생하게 복원해 냈다.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인물총서 열다섯 번째 책으로 출간됨으로써 우리 독립운동사의 또 다른 위인을 본격적으로 추적·발굴해 냈다는 점이 더욱 뜻깊다.
양세의병장의 활약에 담긴 선조의 정신
지은이는 ‘충절’과 ‘의기’라는 양세의병장의 곧은 신념의 뿌리를 영일정씨 가문의 풍토에서 찾아낸다. 고려 충신 형양공 정습명, 포은 정몽주부터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이름을 떨친 강의공 정세아와 그 아들 정의번 등, 시대를 관통하는 충직의 가풍 아래 성장한 것이 이들의 행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그 결과 양세의병장은 위로 임금을 섬기면서 시국 극복 방안을 제시하며 역적·매국노를 규탄하는 데 앞장서고, 아래로는 민심을 살피고 앞장서서 독려하여 기울어 가는 나라를 일으키고자 힘쓸 수 있었다. 우리 민족과 나라의 존립에 대한 이 같은 염원은 양세의병장의 여러 일화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정환직은 삼남도찰사 겸 토포사로서 곳곳을 시찰하면서 백정과 같은 천민의 목소리에까지 귀를 기울였고, 정용기는 의병 모집에 앞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