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들어가며
I. 유화(儒畵: 용어의 유래와 함의
1. 중국의 문인화와 일본의 남화(南畵: 용어의 유래와 함의
1 중국의 문인화
2 일본의 남화
2. 조선 후기에 사용된 선비그림, 유화라는 용어
1 조선의 선비와 선비그림
2 조선 후기에 사용된 선비그림, 유화라는 용어와 의미
3. 근현대 한국 회화사 중 문인화라는 용어: 비판적 고찰
II. 화학(畵學을 창시한 공재 윤두서
1. 선비화가 윤두서의 생애와 서화
1 유복한 남인 집안의 종손
2 학문과 사상으로 변화를 꿈꾸다
3 윤두서 서화예술의 성취와 미술사적 의의
4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기록하다
2. 윤두서의 화학(畵學과 유화
1 학예일치(學藝一致의 추구: 고학(古學·박학(博學·화학(畵學
2 사의: 시서화 삼절, 남종화, 시의도(詩意圖
3 사실: 영정, 풍속화, 진경산수화, 서양화법
4 서화 수장과 화론
III. 화업(畵業에 전념한 겸재 정선
1. 선비화가 정선의 사의산수화
1 조선 후기 시의도의 유행과 정선의 시의도
2 정선 시의도의 제재와 목록
3 분본화(粉本化된 시: 정선 시의도의 특징과 제작양상
2.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서양화법
1 천문학겸교수와 서학의 경험
2 정선이 구사한 서양화법의 제 양상
IV. 화도(畵道를 구현한 표암 강세황
1. 선비화가 강세황의 사의산수화
1 강세황의 화학(畵學과 《표옹선생서화첩》
2 강세황 사의산수화의 특징
2. 강세황의 진경산수화 《풍악장유첩》을 중심으로
1 《풍악장유첩》에 관하여
2 강세황 진경산수화의 특징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전문화가 정선의 등장
정선(1676-1759은 지체가 낮은 집안 출신으로 타고난 그림 솜씨 때문에 벼슬길에 올라 평생 하급관료로 봉직하면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통해 권력가와 저명인들과 교류했다. 그는 실경산수화를 넘어 진경산수화의 정형을 수립한 인물로 널리 알려졌으나 사의산수화, 남종화풍, 고사인물도 등 여러 분야를 개척한 화가이기도 하다. 나아가 원근법과 투시도법 같은 서양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전통 기법과 잘 융합한 독특한 화풍을 구축한 뛰어난 화가였다.
그는 당시 선비와 관료로서는 드물게 화업(畵業에 몰두한 전문화가로서 직업화가 못지않게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고 제자를 양성하였다. 주문 제작뿐만 아니라 중개인 역할을 한 친구를 통해 그림 판매에도 나섰다는 최근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심지어 사신을 통해 중국에도 그림을 판매했다고 한다. 그림을 하나의 업으로 삼은 정선의 이 같은 활약을 통해서 이후 선비화가들이 회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다가서는 기반이 형성되었다며, 저자는 그를 18세기 화단의 변모와 발전을 촉진한 새로운 유형의 선비화가로 평가한다.
화도(畵道를 구현한 강세황
강세황(1713-1791은 과거를 포기하고 살아가던 중년기까지 회화를 자신의 사상과 의식을 담아내는 도구로 활용했고 사회와 주변 인사들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 노년기에 고위 관료가 되어서는 왕의 후원을 받으면서 회화를 통해 정치적, 사회적 업적을 이룩하기도 했다. 그는 깊은 식견과 넓은 시야를 가진 선비로서 독자적인 사상과 미학을 바탕으로 그림을 화학의 차원에서 실천했다.
그가 추구한 사의산수화의 궁극적인 이상은 곧 선비의식을 담은 선비그림, 유화였다. 그는 서화의 수장과 품평, 서예, 인장과 고동 등 회화의 다방면에 걸쳐 활약하였다. 새로운 세계관을 가지고 중국, 서양, 일본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며, 정선에 이어 서양화법을 적극 수용하였다. 사의산수화 분야에서는 시서화(詩書畵 삼절의 이상을 담아내는 시의도(詩意圖를 선호하였고, 현실과 일상 정경을 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