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머리말
머리말
추의 미학
1. 들어가는 글
2. 부정적인 것 전반(全般
3. 불완전한 것
4. 자연의 추(醜
5. 정신의 추(醜
6. 예술의 추(醜
7. 개별 예술장르와의 관계에서 추(醜
8. 추(醜에 대한 즐거움
9. 구분
제1장
1. 형태 없음
1 무형(無形
2 비대칭
3 부조화
제2장
1. 부정확성
1 보편적 의미에서의 부정확성
2 특수한 양식에서의 부정확성
3 개별 예술에서의 부정확성
제3장
1. 형태의 파괴 혹은 기형화
1 천박함(Das Gemeine
2 역겨움(Das Widrige
3 캐리커처
2. 결론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약력
출판사 서평
《추의 미학》은 19세기 독일 철학자 카를 로젠크란츠의 대표작이다. 로젠크란츠는 낭만주의적인 문학적 성향과 헤겔철학의 관념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철학은 물론 심리학, 신학, 교육학, 문예사, 정치사회이론까지 넘나들며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학의 대상범주가 될 수 없었던 추를 미와의 변증법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미학의 필수불가결한 일부로 포함시킨다.
추를 배제했던 미학
로젠크란츠 이전의 미학은 진과 선과의 관계 속에서 미를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미학에서 추를 배제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미...
《추의 미학》은 19세기 독일 철학자 카를 로젠크란츠의 대표작이다. 로젠크란츠는 낭만주의적인 문학적 성향과 헤겔철학의 관념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철학은 물론 심리학, 신학, 교육학, 문예사, 정치사회이론까지 넘나들며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학의 대상범주가 될 수 없었던 추를 미와의 변증법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미학의 필수불가결한 일부로 포함시킨다.
추를 배제했던 미학
로젠크란츠 이전의 미학은 진과 선과의 관계 속에서 미를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미학에서 추를 배제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미학이란 학문분야를 최초로 개척한 바움가르텐은 “미학의 목적은 감각적 인식 자체의 완전성이다. 그에 따라 감각적 인식의 불완전성, 즉 추는 피해야만 한다”라고 주장했다. 칸트의 형식미학도 오직 아름다움만을 다루고 추는 완전히 배제한다. 아름다움의 범주가 자연의 인과율의 세계(진의 영역와 도덕의 자유의 세계(선의 영역를 연결시키는 현상적 증거로서 논의되기 때문이다. 칸트에 따르면 자연의 미가 인간/정신이 만들어낸 인위적 미의 토대가 되며, 미는 내용적인 것이 아니라 형식적인 것으로서 인간의 인식적 능력을 끝없이 자극하여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반면에 정신과 이성이 강조되는 헤겔미학에서는 정신에 의해 생산된 미가 의식/정신이 존재하지 않는 자연의 미보다 우위에 서며, 미는 (정신의 보편적 이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