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유라시아경제연합 :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저자 김영진,성원용,이상준,김상원,우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출판일 2020-07-06
정가 17,000원
ISBN 9788946049925
수량
제1부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출범과 그 전망

제1장 유라시아의 지역통합―유라시아경제연합의 출범과 의미_김영진
제2장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성과와 한계―EU와의 비교_성원용
제3장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원심력과 구심력―무역과 투자_이상준



제2부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역내 환경―각국의 입장과 조건

제4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중앙아시아―경제통합의 이상과 현실_김상원
제5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전략적 선택과 한계_우준모
제6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아르메니아―대러시아 경제적 의존의 함의_박지원

제3부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국제적 환경

제7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EU―정체성 대립의 새로운 전선_강봉구
제8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한국의 대유라시아 정책_우평균
EEU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한국 정부는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나?

얼마 전 중국이 신(新실크로드 건설에 EEU와 협력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15년 1월, EU에 대항한 ‘EEU’로 유라시아 국가들이 뭉친 지 단 4개월 만의 일이다. EU가 40여 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쳐 설립된 것에 비해, EEU는 메드베데프 러시아 전 대통령과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그리고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창설을 추진한 지 4년 만에 출범했다. 비록 회원국 수는 적으나 그 추진력에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중앙아시아를 두고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중국과 러시아가 손을 잡은 것은, EEU를 EU에 맞선 세력으로 키우려는 러시아의 야망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러시아의 ‘나쁜 거버넌스’가 EEU를 통해 구소련 지역에 확산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EEU가 구소련 지역 국가들을 지배하기 위한 러시아의 신제국주의적 수단이라는 것이다. 단일경제권을 유지했던 소련이 해체되고 20여 년 동안 공동경제구역, 관세동맹, 독립국가연합 등 유라시아 역내에 여러 경제협력체가 있었다. 그중 러시아는 유라시아 내 최대 강대국으로서 여전히 구소련 지역통합의 강력한 주체 세력인 반면, 그 외 회원국들은 러시아의 설득과 권유에 따라 통합에 동참하는 수동적 입장에 놓여 있다. 러시아가 경제통합으로 당장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여타 회원국들에 물적 지원을 해야 하는 입장이다. 실제로 러시아와 회원국들 간 경제 수준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경제통합에 러시아의 희생이 많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러시아가 유라시아 통합을 적극 추진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인지, 그 내막과 실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박근혜 정부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표방한 만큼 EEU의 창설 배경과 전망을 한국적 시각에서 따져볼 필요가 있다.
EEU는 소련 제국의 부활인가? 아니면 EU에 대적할 만한 유라시아 지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