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총론┃ 동북아 국제질서 속의 한국사__조병한
1. 2차 세계대전 후 동아시아의 변동과 세계체제
2. 위기의 역사학―일국사를 넘어
3. 민족사관과 동아시아론·중화사론
4.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공·책봉 질서
5. 중화제국과 정복왕조
6.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국의 위치
7. 근현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한국의 위치
제1부_전쟁과 전근대의 동북아 국제질서
┃제1장┃ 7세기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전쟁__임기환
1. 머리말
2. 수대 국제질서 변동과 전쟁
3. 당대 국제질서 변동과 전쟁
4. 맺음말
┃제2장┃ 나·당전쟁과 나·일 관계__노태돈
1. 머리말
2. 나·왜 국교 재개와 나·당 개전
3. 나·당전쟁의 추이와 나·일 관계
4. 676년 이후의 나·일 관계
5. 맺음말
┃제3장┃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와 고려__채웅석
1. 머리말
2. 11세기 후반 고려의 외교관계 다변화 모색
3. 12세기 전반 금의 흥기에 따른 고려 지배층의 대응
4. 맺음말
┃제4장┃ 14세기 후반 원·명 교체와 한반도__이익주
1. 머리말
2. 13세기 고려·원 관계의 성립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3.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개편
4. 맺음말
┃제5장┃ 15·16세기 일본의 전국시대와 도요토미 정권__박수철
―‘임진왜란’의 재검토
1. 머리말
2. 전국시대의 성격과 도요토미 정권
3. 도요토미 정권의 지향과 임진왜란
4. 맺음말―임진전쟁
┃제6장┃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질서__한명기
1. 머리말
2. 호란의 전제로서의 임진왜란 그리고 재조지은
3. 정묘호란의 발생과 조선·후금 그리고 명
4. 병자호란이 조선·청·일본에 미친 영향
5. 맺음말
제2부_전쟁과 근현대의 동북아 국제질서
┃제1장┃ 19세기 서구적 세계체계와 동북아 질서 재편__조병한
1. 머리말
2. 청조의
출판사 서평
한반도, 한국사를 둘러싼 역사 속의 동북아 국제질서
이 책은 역사학회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던 공동연구의 성과를 묶은 결과물이다. 역사학회는 2003년 ‘전쟁과 국제질서’?라는 주제로, 2004년에는 ‘공존 번영을 위한 동북아시아사의 반성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여기에는 모두 13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했는데, 두 차례 모두 한반도, 한국사를 둘러싼 역사 속의 국제질서를 다루고 있는 데다 한반도를 둘러싼 각 시대의 동북아 국제질서가 대부분 전쟁이라는 격변을 매개로 변화되어갔다는 사실을...
한반도, 한국사를 둘러싼 역사 속의 동북아 국제질서
이 책은 역사학회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던 공동연구의 성과를 묶은 결과물이다. 역사학회는 2003년 ‘전쟁과 국제질서’라는 주제로, 2004년에는 ‘공존 번영을 위한 동북아시아사의 반성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여기에는 모두 13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했는데, 두 차례 모두 한반도, 한국사를 둘러싼 역사 속의 국제질서를 다루고 있는 데다 한반도를 둘러싼 각 시대의 동북아 국제질서가 대부분 전쟁이라는 격변을 매개로 변화되어갔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그 연구 결과인 13편의 개별 논문을 함께 묶었다.
이 연구의 공통 인식을 이룬 배경은 20세기 후반 이래 전 지구적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동북아시아 지역이 새로운 세계 중심부의 하나로 부상하면서도 국제정치적 긴장이 가장 첨예한 지역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현재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고,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은 고구려·발해의 역사를 부정함은 물론 백두산까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려는 야심을 드러내며 한반도를 둘러싼 커다란 위협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사적 대변국에 처하여 공동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이제 한국사도 과거 일국사一國史 차원의 민족주의적 시각을 탈피해 세계사, 동아시아사와의 전체적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