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제1장 소화기질환
위(胃, 식도(食道질환
GERD, NERD
방제?
기(氣
혈(血ㆍ진액(津液
식도(食道
가슴쓰림
위(胃-식도역류
위염(胃炎ㆍ위궤양(胃潰瘍
기능성 소화불량
위(胃불편감의 제2선택 약
오장육부(五臟六腑
간화범위(肝火犯胃
위암(胃癌
위(胃가 차다
장(腸질환
설통
간담(肝膽
제2장 순환기질환
심부전(心不全
심방세동(心房細動
심근경색(心筋梗塞
고혈압(高血壓
EBM
부종(浮腫
신양기(腎陽氣
심장신경증(心臟神經症
팔강변증(八綱辨證
제3장 내분비와 대사
당뇨병(糖尿病
비만(肥滿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
제4장 신장질환
만성신장병(慢性腎臟病
급성신부전, 만성신부전에 따른 부종
제5장 호흡기질환
천식(喘息
COPD
폐(肺와 신(腎
가래가 많은 COPD
간질성폐렴(間質性肺炎
기관지확장증(氣管支擴張症
한방 진찰법
기침
가래
제6장 신경질환
파킨슨병
치매
뇌혈관장애
두통(頭痛
제7장 알레르기질환
꽃가루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아토피피부염 표치
아토피피부염 본치
제8장 감염증
독감(인플루엔자
폐렴(肺炎
육경변증(六經辨證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유행성이하선염
제9장 류마티스관절염, 결합조직질환
류마티스관절염
SLE
전신경화증
쇼그렌증후군
제10장 방문진료
비염
변비
설사
식욕부진
치매
쥐남
연하능력저하
BPSD
빈뇨, 실금
피부건조
암성통증
피부 세균감염증
요통
슬통
제11장 심신증
제12장 여성병태
갱년기장애
월경곤란증
월경전증후군
제13장 잡병
냉증
간기울결 냉증
혈어 냉증
소아 냉증
피로
어지럼
이명
빈뇨와 실금
소아 야뇨증
거친 피부
젊은 사람의 여드름
반복되는 인두염, 편도염
제14장 한방약 부작용
마치며
역자후기
처방색인
저자-역자소개
술을 아무리 모으고 모아도 학문은 되지 않는다
저자는 야마모토 선생의 레벨에서 만족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며, 그 선생은 혼자 개업의로써 가능한 수준을 해낸 것으로 ‘한방의학’이라는 학문을 재구축하고자 한다면, 거기에 머물러서는 안될 것이다. 야마모토 이와오 선생은 헤이세이까지 활약해왔기 때문에 EBM이라는 단어를 접하기는 했을 것 같지만, 그 어록 중 EBM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 당시는 약리기전만 이야기해도 바로 서양의학이 되던 시절이다. 그래서 야마모토 선생은 그런 방향성을 취했던 것 같다고 했다. 야마모토 이와오 선생이 EBM을 마주했다면 또 이야기는 달라졌을 것 같다. 몇 번이나 이야기하지만 일본한방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점은 정해진 학문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손끝의 잔재주 기술만 쫓아 학문을 정비하지 못했다. 중의학이 형이상학적이다 뭐다 해도 한 번 보라, 근거구축으로 저 멀리 도망가 버리지 않았는가? 술을 아무리 모으고 모아도 학문은 되지 않는다. 근거로 보강한 Logos가 필요하다. 단순한 의술은 후세에 발전할 여지가 없다. 저자 전저 《고령자 한방진료》에 이어서 다시 한번 이 점을 세상에 묻고 싶다고 했다. 어떻게든 한방을 의학으로 발전시켜 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여성이 구운 고깃덩어리가
인후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할 때
가슴쓰림이 있는 정도는 아니고, 뭔가 인후부에 걸린 것같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예로부터 반하후박탕을 사용했다. 물론 암이 막고 있는 경우는 아니다. 내시경으로 보아도 아무것도 없지만, 본인은 계속 인후부터 가슴에 걸쳐 막힌 느낌이 있다고 할 때가 있다. 출전인 《금궤요략》에는 ‘여성이 구운 고깃덩어리가 인후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할 때, 이 약을 사용한다’라는 수수께끼 같은 해설이 되어 있다. 요즘은 이것을 인후두이상감각, 정신과에서 말하는 ‘히스테리구’라고 해석한다. 실제 우울감이 심한 신체표현성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사용된다. 한방의 항우울제 중 하나로도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