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원한 행복을 찾아서
2. 부처는 누구인가?
3. 싯다르타의 고뇌와 출가
4. 싯다르타의 구도와 수행
5. 중도를 깨치고 영원한 행복을 발견하다
6. 중도란 무엇인가?
7. 중도가 연기다
8. 불교의 지혜들, 사성제·삼법인
9. 중도정견 세우기
10. 선과 교의 근본, 중도
11. 중도가 부처님
12. 중도와 화·용서·참회
13. 선禪이란 무엇인가?
14. 조사선이란 무엇인가?
15. 간화선이란 무엇인가?
16. 한국 근세 간화선풍의 중흥
17. 화두 참선의 시작
18. 선지식에 의지하여 공부하라
19. 화두 참선하는 법
20. 화두 삼요와 의정
21. 백척간두와 활구 참선
22. 동정일여와 오매일여
23. 오매일여를 지나야 깨달음이다
24. 혼침·도거·상기 대처법
25. 신비한 경계와 대처법
26. 고요함만 있는 적적은 외도
27. 일상생활에서 화두하는 법
28. 참선과 근기에 대하여
29. 자기가 본래부처이니 단박에 깨친다
30. 돈오점수와 생멸연기관에 대하여
31. 큰 도는 문이 없다
32. 깨달음에 대하여
33. 생활에서 화두 참선의 효능
34. 간화선과 위빠사나
35. 인류문명의 대안, 중도와 선
부록 ― 인터뷰
부처님의 깨달음은 중도연기
이 길을 위해 처음 고우 스님은 부처님의 삶을 살핀다. 싯다르타는 무엇을 고민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으며, 왜 출가했고, 무엇을 깨달았는지 꼼꼼하게 들여다본다. 바로 이 부분에서 고우 스님의 시각이 빛난다. 조계종단에 부처님의 생애가 교과로 채택된 때가 불과 10년 전인 것을 고려하면, 또 대승과 선에서 역사적 인간으로서 부처님을 이해하는 사례가 드물었던 것을 고려하면, 1961년 출가해 전통 선맥을 이어온 고우 스님의 안목에 새삼스럽게 놀랍다. 스님은 이렇게 말씀한다.
“싯다르타 왕자가 출가하여 중도를 깨달아 생로병사의 괴로움에서 해탈하여 영원한 행복의 길을 열어 보인 것이 바로 불교佛敎입니다. 불교는 내 밖의 절대자에게 구원을 의지하는 다른 종교와 달리 인간이 스스로 중도를 깨치면 생로병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누린다는 것입니다.”
고우 스님은 부처님의 깨달음이 곧 중도이며, 중도의 내용이 연기이며, 이 중도와 연기를 깨치면 영원한 행복이 길로 갈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스님은 책 곳곳에서 반복하며 중도가 무엇이고, 연기가 왜 불교의 세계관이며 존재 원리인지 설명한다. 개인과 사회의 모든 갈등의 핵심은 바로 이 중도와 연기를 모르기 때문이기에 중도연기를 이해하고 행하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이게 핵심이다. 이후 전개하는 스님의 모든 법문은 이를 증명하고, 이를 삶에서, 일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빠른 길, 영원히 행복한 길, 화두 참선을 이야기한다.
중도는 ‘나’라는 마음이 없는 것
고우 스님이 대중 법문에서 늘 강조하는 것이 바로 ‘중도’다. 고우 스님은 중도가 우주의 존재 원리이고 실상이라고 말씀한다. 모든 존재는 중도의 존재라는 것이다. 예컨대 ‘나’라는 존재도 중도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아마도 이런 설명에 독자들은 많이 낯설어 할 것이다. 내가 중도라고? 그렇다면 이런 인식은 어떤가? ‘나’는 연기의 존재다. 이 표현은 교리를 좀 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