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프롤로그
: 유라시아의 길
동아시아 / 대아시아 / 유라시아
02_연행록과 견문록
: 개화기의 사대부 유길준, 우리는 그를 몰랐다
《서유견문》 다시 읽기 / 儒學과 留學 / 개화와 중도 / 진(眞개화
03_21세기 중화망
: 태국 치앙라이, 고산 마을 가는 길
마에살롱과 단 장군 / 냉전의 마을 / 네트워크 중화제국
04_방콕의 춘절
: 중국 ‘춘절’이 글로벌 축제가 될 수 있을까?
하늘길 / 글로벌 춘절 / ‘일대일로’와 대중화공영권? / 세대교체
05_신(新동방무역 시대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의 탄생
영국의 작심 / 독일의 회심 / 신동방무역 시대의 도래
06_우크라이나, 신냉전과 탈냉전
: 나치의 후예가 어떻게 민주투사가 되었나?
신냉전: 역사의 반복 / 탈냉전: 역사의 반전 / 신세계, 새 물결
07_인도양에 부는 바람
: 재균형의 축, 인도
비단길과 면화길 / 신드바드와 장보고 / 백 년의 역풍, 천 년의 순풍
08_반둥, 위대한 유산
: ‘아시아-아프리카 회의’ 60년, 그날의 환희를 기억하라
인도네시아 반둥 가는 길 / 왜 반둥이었나 / 위대한 유산
09_적도의 대국, 인도네시아
: “미래는 적도에 있다”
상상의 공동체 / ‘인도태평양’의 역동적 균형자 / 이슬람 르네상스
10_반동의 축, 미일동맹
: 전후 70년, 평화국가는 죽었다
일본, 속국의 비애 / 미국, 기생적 패권 / 블록과 네트워크
11_파키스탄, 일대와 일로 사이
: 미국은 총을 주고 중국은 돈을 준다
철의 형제 / 남아시아의 허브, 과다르 항 / 유라시아몽
12_붉은 광장, 기억의 전쟁
: 전쟁 끝낸 진짜 영웅은 맥아더 아닌 주코프였다
역사동맹 / 1939 할힌골, 세계사의 분수령이 되다 / 유라시아 전쟁
13_유라시아의 축도, 몽골
: 칭기즈칸의 귀환
신정(新政, 백 년의 급진 / 민주화: 몽골화와 세계화 / 유라시아형 세계체제의 가교국가
14
중화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상호 진화,
몽골 로드에서 할랄 스트리트까지
3부작 가운에 이번에 출간된 제1권 <몽골 로드에서 할랄 스트리트까지>는, 중화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문명 간 교류와 재건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면서, 유라시아의 실크로드와 초원길과 바닷길이 다시 연결되고 부활하는 감동을 전해준다. 거기에다 새 천년에는 하늘길과 온라인이 더해져, 세계는 시시각각 가까워지고 있다.
가장 큰 축은 역시 중국이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일 것이다.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One Belt와, 동남아시아와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One Road의 옛 길을 다시 복원해낸다는 구상이다. 예컨대 중국의 신장 우루무치에서 아라비아 해에 자리한 파키스탄의 과다르 항까지 도로, 철도, 송유관, 광섬유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경제회랑’이 건설되고 있다. 즉 파키스탄을 실크로드 프로젝트의 기점으로 삼으면서, 이제 과다르 항은 남아시아의 허브가 되고 있다. 또한 대당제국의 수도였던 장안이 과거 중원의 대운하와 서역의 비단길이 합류하던 곳이었듯, 현재의 시안도 내륙의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직결되면서 이국적이고 혼종적인 세계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그래서 “시안의 미래는 장안”이며, “미래 세계가 고대 중국으로” 향하는 것이다. 신세계는 기울고, 구세계는 다시 차오른다.
한편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점차 유라시아 대륙 전역의 국가들을 수용해가는 양상도 흥미롭다. 최근 인도와 파키스탄이 정식 회원국이 되면서 그 영역은 더욱 넓어졌는데, 준회원(옵서버, 대화 파트너 국가까지 포함하면 유라시아의 거의 대부분을 포괄한다. 이는 미국 주도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배타적?냉전적 동맹의 성격과 극명히 대비된다. 게다가 이란의 핵 협상 타결 후 ‘정상국가화’가 눈앞에 다가오면서 이란의 ‘동방 정책’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곧 이란이 SCO의 회원국으로 참여하게 될 날도 머지않았다. 이뿐만이 아니다. 산업혁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