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르티아 센의 서문 9
20주년 기념판 서문 22
감사의 글 26
들어가는 말 29
제1부 이해관계는 어떻게 정념의 맞상대로 불려 나오게 되었나
영광 개념과 그것의 몰락 35
‘있는 그대로의’ 인간 40
정념을 억누르고 제어하기 43
서로 대항하는 정념의 원리 50
정념의 조련자로서 ‘이해관계’와 ‘이해관계들’ 65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이해관계들 79
이해관계가 지배하는 세상이 가진 자산: 예측 가능성과 항상성 88
결백하고 부드러운 돈벌이와 상행위 99
차분한 정념으로서의 돈벌이 111
제2부 경제성장이 정치 질서를 개선한다는 기대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학설의 구성 요소들 121
1. 몽테스키외 121
2. 제임스 스튜어트 경 136
3. 존 밀러 144
관련되어 있지만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관점들 151
1. 중농주의자들 155
2. 애덤 스미스와 어떤 이상의 종말 160
제3부 지성사의 한 사건에 대한 성찰
몽테스키외-스튜어트의 이상은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나 179
이해관계가 지배하는 세상의 약속과 프로테스탄트 윤리의 대립 196
오늘날의 관점에서 200
옮긴이의 말 206
후주 217
찾아보기 230
자본주의가 막 출현했을 무렵, 몽테스키외와 제임스 스튜어트 경을 비롯한 당대의 주요 사상가들은 온화한 상업이 사람들의 길들여지지 않은 야만적 정념을 길들여, 사회를 온화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했다. 이해 타산적인 상업의 정신은 정직함과 신중함, 분별력 등에 기반해 있기에, 사람들도 이런 습성을 내면화해 자본주의 시대에 걸맞은 심리적·도덕적 성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 것이다. 이로부터, 온화한 상업의 확대는 전제정을 막고, 온화한 정치와 합리적 국정 운영으로 이어지리라는 기대가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그렇게 자본주의가 막 등장할 무렵, 그 옹호자들은 상업의 이런 측면에 기대어, 자본주의의 출현을 반기고 정당화할 수 있었다. 곧 경제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이라고.
자본주의가 사람들의 야만적 정념을 길들인다니? 몽테스키외 이후, 자본주의의 역사와 현실을 생생히 경험하고 있는 우리들의 시각에서 볼 때, 이는 매우 허황된 예측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기적 사익 추구에만 매몰된 일차원적 인간들. 무분별한 환경과 자원의 남용. 물질적 이해관계를 추구하기 위해 전쟁도 불사하는 정치가와 국가들. 시간이 흘러갈수록, 더욱 악화되어 가기만 하는 부의 재분배 문제 등등. 하지만, 좀 더 곰곰이 생각해 보면, 오늘날에도 경제 발전이 정치와 사회의 발전을 이끌고 안정을 낳는다는 견해는 여전히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전후, 현대자본주의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케인즈는 물론이고, 현대 민주주의론의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놓은 조지프 슘페터 역시 (이 책의 저자인 허시먼이 이런 대가들 역시 과거의 논쟁들을 들여다보려 하지 않는다고 한탄했듯이 이 같은 견해를 펼쳤고 옹호했다. 좀 더 최근인 1970년대와 1980년대 각광을 받았던 주요 민주화 이론들 역시 경제 발전이 정치적 발전과 민주주의를 가져온다고 가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21세기인 현재에도 이런 구호가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 “문제는 경제야, 이 멍충이들아!” 자본주의를 옹호했던 초기의 예측과 기대는 깨졌지만, 불사조처